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산균의 항생제 저항성 비교연구

전문가 제언

항생제 노출에 대한 박테리아의 저항성 출현은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는 항생제 치료 동안에 일어나는 박테리아의 진화과정이다. 이런 진화는 항생제 치료에서 박테리아 균주가 고용량의 항생제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생리적, 유전적 형질을 선택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게 해준다. Penicillin이나 erythromycin 같은 항생제는 많은 박테리아 종이나 균주에서 높은 효능을 가진 항생제 저항성 형질의 증가 때문에 점차로 항생제 효력이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 것이 현 실정이다.

 

박테리아의 약물저항성은 박테리아세포에 의한 그 약물의 생분해능력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불리한 환경에서 박테리아의 생존능력은 불리한 환경에 원인이 되는 특정 인자에 대한 저항성 형질을 획득함으로써 계속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항균물질에 대한 저항성의 성장은 같은, 또는 다른 종류의 박테리아 균주 간에 수평적 유전자 전이로 일어날 수도 있다. 실제로 항생제 사용이 빈번한 장소에서는 저항성 유전자의 수평전이가 흔히 일어난다.

 

이 연구는 중국의 여러 지역에서 분리한 유산균 Lactobacilluscaseiplantarum 종의 총 32 균주에서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 존재의 분포를 조사하고, 특히 streptomycin 저항성 유전자에 대해서 유전자발현 양상을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유산균은 사람한테 유익한 박테리아다. 유전자의 수평 전이는 대개 플라스미드 같은 유동성 유전체가 접합(conjugation)이라는 과정으로 공여세포에서 수용세포로 이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사람의 위·장관 안에서 유산균의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가 유해한 병원성 박테리아로 수평이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국내에서 항생제 저항성에 대해서는 의료 분야에서뿐 아니라 축산 등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도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성균관대 송재훈, 서울대 박용호, 연세대 박준홍 등 연구팀의 활동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
Yuyu sha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50()
잡지명
Food Contro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50~258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