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돼지 도축장 폐기물과 하수슬러지의 혼합소화

전문가 제언

혐기성 소화는 세계적으로 관심이 증가하는 폐기물 처리방법으로, 최종 소화 잔류물이 퇴비화되어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이다. 가축배설물과 타 폐기물(음식폐기물, 식품폐기물 등)을 통합한 건식 메탄발효기술 연구개발이 필요하며, 고온 조건에서 체류시간, 가수분해 등에 관한 연구 및 유해물질 추적에 대한 연구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지방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도축 부산물은 바이오가스 생산에 아주 매력적인 물질이다. 지방질의 이론적 바이오가스 생산은 총 고형물(TS: Total Solids) 1kg1,250dm3로서 이의 약 6768%CH4이다. 탄수화물의 이론적인 바이오가스 생산은 790800dm3/kgTS로서 이의 50%CH4이다. 도축장에서 발생된 폐기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총 바이오가스 생산 잠재력은 소 1두당 1,300MJ이고 돼지는 1두당 140MJ의 높은 에너지를 가진다.

 

본 연구는 돼지 도축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 즉 고기조직, 내장 폐기물, 거친 털 및 처리 후 슬러지를 하수 슬러지와 혼합하여 소화시켰을 때와 하수슬러지 및 도축 폐기물 단독일 때의 바이오가스 생산량을 실험한 것으로서 소화방법은 회분식과 준연속식 2방법을 택하였다.

 

국내에서도 가축분뇨 및 도축폐기물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 퇴비·액비의 품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20143월에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서 가축분뇨, 퇴비, 액비의 처리의무, 퇴비 액비화의 기준, 방류수 기준, 음식물폐기물 혼합 및 퇴비, 액비의 품질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가축분뇨 및 도축 폐기물의 소화반응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에 보조금 지급, 면세, 신기술 보조와 같은 전면적인 지원으로 바이오가스의 생산을 독려할 필요가 있다.

 

저자
Sebastian Borowski, Przemyslaw Kuback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40()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9~126
분석자
손*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