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CO2 포집을 위한 폴리에스터의 잠재력 탐구

전문가 제언

기후변화 국제협약인 교토의정서에서는 6대 온실가스에 대해 관리하고 있고, 인위적으로 배출되는 전체 온실가스 양에서 이산화탄소는 6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석탄, 석유, 가스 등과 같은 화석연료의 사용이 온실가스 배출의 가장 큰 원인이다.

 

현재까지 아민흡수공정, 극저온분리공정 등 다양한 습식 CO포집기술이 개발되었지만 대규모 설비에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많아서 고체상 흡착소재 개발이 대체기술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고체상 CO흡착제의 경우 화학흡착에 의해 CO2를 포집하는데, 흡착된 CO2를 흡착제에서 떼어내면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문제가 있다.

 

고분자는 CO2를 포집하려는 성향을 가지고 있고, CO흡착능력은 상대적으로 다공성 폴리머에서 더욱 확연하다. 본 연구에서는 삼중기능(tri-functional) 단량체(monomer)들로부터 얻은 폴리머를 가지고 CO2흡착력을 측정하였다. 폴리에스터의 CO흡착력은 1(bar)의 압력, 온도 273K에서 5.48/g이었고, 이 합성된 폴리에스터는 잠재적으로 CO2 포집을 위해 이용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여러 가지 CO포집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고 여러 가지 가시적 성과도 나타내고 있다. 2013년 한 대학교 연구진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다공성 고분자 물질인 SNU-C1CO2 흡수력이 뛰어나면서 쉽게 재생이 가능하다. 2014년에 국내 연구진이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CO2를 획기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흡착제인 니켈기반의 금속·유기 복합체를 개발했다.

 

대기 중의 CO감축을 위해 실행 가능하고 매력적인 방법은 흡수식 기술을 대체할 수 있고, 저에너지 요구량을 가진 흡착법이다. 적정한 흡착제의 사용은 전체 탄소 포집 및 저장에 있어 CO분리와 관련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규모 설비에 유리한 고체상 흡착소재 개발이 대체기술로써 활발하게 연구되어야 하고, 폴리에스터와 같은 고분자 물질은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Sonia Zulfiqar, Muhammad Ilyas Sarwa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26()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423~1427
분석자
김*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