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저가의 센서를 이용한 도시의 대기오염 관리

전문가 제언

소형 센서들을 사용한 대기오염 모니터링 방법은 현재의 고정된 측정소에서 분석장비를 사용하는 방법보다 경제적이고 설치와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센서측정시스템이 도시의 대기 질 측정에 보편화되기 위해서는 센서의 감도, 정확도, 간섭물질에 대한 선택성, 기상조건에 따른 안정성 등이 향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에 탑재 가능한 초소형 대기오염 측정센서를 개발하였으며, 나노 반도체기술의 발전으로 앞으로도 소형화되고 전력소모가 적은 센서들의 개발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대기오염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기관에서 이들을 대기오염물의 모니터링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들이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국내에서도 SO2, NO2, O3, CO, PM10(입자크기가 10㎛이하의 미세먼지), PM2.5(입자크기가 2.5㎛이하의 초미세먼지) 등과 같은 대기오염물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310여개 지역에 대기오염 측정소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이 도시의 대기 질을 측정하기 위한 도시 대기측정망이지만 외국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국가 배경농도 측정망, 자동차와 유동인구가 많은 도로변의 오염물 농도를 측정하기 도로변 대기측정망, 도시를 둘러싼 교외지역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교외 대기측정망도 별도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한국환경공단에서 국가 대기오염정보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대기오염측정소에서 수집된 주요 대기오염물들의 농도를 대기오염도 공개홈페이지(www.airkorea.or.kr)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있다.

 

PM2.5이나 PM10 같은 미세먼지를 비롯한 주요 대기오염물들에 대한 국

내 환경기준은 아직까지 세계보건기구의 권고기준보다 높은 상태로 대기 질을 악화시키는 오염원들을 세밀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저가 센서들을 이용한 대기오염 측정망을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시험적으로 운영해 볼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센서측정시스템의 확대 필요성이 검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자
Prashant Kumar,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75()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99~205
분석자
양*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