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 기반 미디어 콘텐츠 캡처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은 시청자가 영화 또는 TV 드라마를 보고 있을 때 셋톱박스나 TV 또는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와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된 시청자의 얼굴표정, 몸동작, 음성 등을 분석하여 미리 정의해 놓은 감정표현과 일치할 경우 그 감정이 일어나게 한 그 순간의 내용을 짧은 비디오/오디오 클립으로 만들어 저장시켜 주는 기술이다.
○ 이미지 처리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의료, 과학 등 특수한 분야에서의 진행되어 왔지만, 카메라가 기본으로 내장된 스마트폰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일반적인 이미지의 처리 기술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최근 페이스북에서는 높은 인식률을 갖는 얼굴 인식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진 속 인물이 누구인지 알아내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구글 및 MS에서는 이미지 속의 사람, 사물들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 이 기술의 활용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비디오/오디오 클립을 만들 때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정보(제목, 채널번호, 주인공, 출연자, 배경음악 등)도 같이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소셜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유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저작권 승인(copyright permissions)에 대한 대책도 있어야 할 것이다.
○ 이 기술은 카메라와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된 시청자의 표정 이미지와 말소리로 사용자의 감정을 인지한다는 것으로 시청자의 감정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 기술의 회피설계를 위해서는 바이오센서 등을 통하여 신체적 변화를 좀 더 정밀하게 측정하여 시청자의 감정을 인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GOOGLE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061476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0
- 분석자
- 이*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