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말 자동 식기 세척제
- 전문가 제언
-
○ 계면활성제는 계면에 흡착하여 계면의 자유에너지를 저하시키는 작용성을 가지는 물질이다. 즉 이와 같이 계면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계면활성물질이라고 총칭하며,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 합성된 화학물질을 계면활성제라고 말한다.
○ 계면활성을 가지고 있는 이들 물질의 화학구조에서 보이는 특징으로는, 그의 1개 분자 중에 1개 이상의 친수성기와 그리고 1개 이상의 친유성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비누는 지방산의 알칼리염이지만 지방산에 연유된 탄화수소 사슬은 친유기로 작용하는 한편, 카르복시기가 알칼리로 중화된 부분은 수중에서 친수기로 역할을 한다.
○ 생체성분의 하나인 인지방질은 전형적인 천연의 계면활성물질로, 그의 화학구조는 지방산에 연유된 2개의 탄화수소 사슬로 이루어지는 친유기와 인산과 그것에 인접하여 결합한 콜린(Choline), 에탄올아민(Ethanolamine), 또는 이노시톨(Inositol) 등으로 이루어지는 친수기그룹으로 이루어져 있다.
○ 이들의 분자는 계면에서 친수성의 상에 친수기를, 친유성의 상에 친유기를 각각 향하여 규칙적으로 흡착(배향흡착)하여 극히 소량의 존재로 지극히 유효하게 계면 자유에너지의 저하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계면활성물질이 다량 존재하더라도 계면을 점유할 수 없는 잉여의 분자는 수상 또는 유상에 용해하기 때문에 계면 자유에너지가 제로(0)로 되지 않는다.
○ 섬유유연제는 이온성에 따라서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계, 양성이온계로 분류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린스형의 유연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는 부직포 형태의 유연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빨래와 함께 건조기에 넣고 건조시키면 유연제가 빨래에 흡착되어 유연효과를 향상시키기 때문에 유연제에 대한 수질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환경에 기여할 수 있는 유연제의 개발에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 저자
- MELALEUCA,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057949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9
- 분석자
- 정*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