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용성 코팅제의 조성물

전문가 제언

이 특허는 유리전이온도 840범위를 가지는 공중합체로 또한 에멀젼 공중합체의 고체 무게를 기준으로 인산알킬아크릴레이트, 인산알콕시아크릴레이트 또는 그들의 염이다.

 

또한 그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 인 함유 단량체로 그 무게가 13.5%로 구성되는 수용성 공중합체 현탁액과 수용성 공중합체 현탁액의 무게 기준으로 농도(Cc)인 합체 그리고 안료와/혹은 효력증진제로 구성된 수용성 코팅제의 조성물을 그 특허범위로 하고 있다.

 

수용성 코팅제의 조성물에서 합체는 2,2-4트리메칠-1,3펜테인디올모노(2-메칠프로파노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디이소부틸 글루타레이트; 디이소부틸 썩시네이트; 디이소부틸 아디페이트; 디메틸 프탈레이트; 혹은 그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본 특허에서 농도(Cc)를 갖는 화합물은 유리전이온도와 인 함유 단량체의 농도로 부터 계산될 수 있는 수식을 찾아낸 것은 참고할 만한 착안점이다.

 

현재 자동차, 선박 및 모바일 폰 등을 대량으로 수출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본 발명의 특허 출원범위를 침범하지 않으면서 친환경 복합안료를 위한 새로운 안료 소재들을 서둘러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새로운 복합안료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점은 안료 소재들의 입자크기에 따라 색조가 달라진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복합안료들의 입자크기를 예로서 마이크론 단위 크기와 나노 단위 크기 등으로 분류하여 시험을 한 후에 비교하여 선택할 필요가 있다.

 

국내 기술개발로 환경 친화적이면서 고기능성을 발휘하는 다양한 공업용, 건축용 신제품을 개발하여 기술적 위상과 수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저자
Dow Global Technologies LLC & Rohm and Haas Company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WO20150061959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2
분석자
김*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