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인증을 통한 e-거버넌스 서비스 안전
- 전문가 제언
-
○ e-거버넌스(e-Governance)는 Electron Governance를 말하며 Digital Gervernance 혹은 Cyber Governance 라고도 부른다. e-거버넌스는 인터넷 등 가상공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활용한 새로운 행정관리의 방식으로서 관리, 체계, 정책의 차원을 포괄하는 대안적 국정관리 패턴이다. 반면 전자정부(E-government)는 정부의 진행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국민들과의 정보소통 라인을 마련함으로써 서비스 전달효과를 높이고 국민에 대한 공공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관리체제를 말한다. e-거버넌스가 전자정부보다 더 포괄적인 국정관리 패턴이라 할 수 있다.
○ e-거버넌스를 실행하는 정부는 국민들에게 흠결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본인인증과 시스템 안전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다. World-wide 레벨의 정보시스템에서 높은 수준의 보안 검증과 개인인증 문제가 절박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결국은 생물측정이 e-거버넌스 개발과 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입되고 있다.
○ 이 리뷰에서 인도는 모든 국민들에게 'aadhaar' 인증 등록 시 생물측정도 포함시킴으로써 e-거버넌스 개발과 안전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인도는 현재 'aadhaar' 인증 등록을 실시하고 있는데, 2015년 5월 14일 현재로 인도 국민 1,210,601,445명 중에서 817,392,467명이 등록하여 67.53% 등록률을 기록하고 있다. 인도의 'aadhaar' 인증 등록은 바로 우리의 주민등록과 비슷한 것이지만 생물측정이 좀 더 강화되어 있다.
○ 서울시는 2003년부터 서울시 정보화 추진계획에 따라 ‘전자정부’를 도입하여 시행하여 왔다. 그 결과 2013~2014년 세계 대도시 전자정부 평가(SPAA)에서 세계 1위 도시로(1위 서울, 2위 토론토, 3위 마드리드, 4위 프라하, 5위, 홍콩, 6위 뉴욕) 선정돼 2003년부터 연 6회 연속 세계 최고 전자정부 도시 위상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2014년 UN E-Government 평가에서는 전 세계 193개국 중에서 한국이 EGDI 평가지수 0.9462로 단연 1위 국가로 평가되었다. 한국이 전자정부의 리더로서 세계 최고 수준임을 입증해주고 있다.
- 저자
- Madhavi Gudavall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8(1)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Security and Its Application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03~112
- 분석자
- 윤*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