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공지능에 의한 과학적 발견

전문가 제언

인공지능과 신경망 심층학습의 세계 유수연구기관의 하나인 일본 국립정보학연구소의 K. Inoue가 인공지능에 의한 과학적발견의 최근 연구 성과를 자상하게 소개하고 있어 매우 교육적인 자료가 된다.

 

과학발견의 근간을 이르는 과학적 발견에는 발견을 위한 방법론이라는 것이 있고 가설을 사용한 사고법을 모델화하여 컴퓨터에서 실현함으로써 가설발견의 자동화가 기대된다. 정보기술이 발달하고 방대한 정보를 분석해야 하는 현대에는 컴퓨터 활용이 필수적이며 과학적 발견이 자동화됨으로써 과학발전도 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가설발견기술은 비즈니스분야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추론에 의한 가설발견, 가설의 확률론적 평가, 메타레벨 abduction(발상), 상태 천이로부터의 학습 등 인공지능 추론기술을 소개하고 이 기법을 활용한 시스템생물학으로의 응용, 손상된 p35유전자의 새로운 링크의 형성, 유전자네트워크 등 복잡계에서의 과학적 발견에 대하여도 언급하고 있다.

 

○ 노트북 컴퓨터 등의 휴대형전자기기를 사용한 심층학습분야에서 세계를 리드하고 있는 KAIST의 박성욱교수팀, 서울대, KIST 등 한국에는 세계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인공지능/심층학습 전문가들이 많다. 그러나 기초과학분야의 연구 활동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어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적 발견도 저조한 편이다.

 

○ ICT기술분야 후진국이었던 중국에서 Baidu와 같은 세계적 기업이 탄생했다. 우리나라도 인공지능과 신경망심층학습의 세계적 조류를 활용하면서 하드웨어실험데이터를 적극적으로 축적하면 기초과학강국이 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만들 수 있다. 20세기 초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으로 새로운 과학기술이 개척되었듯이 21세기는 GPU컴퓨팅, 빅 데이터, 신경망 심층학습, 인공지능으로 새로운 과학기술문명의 시대가 된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적 발견기법이 전 국민의 체질이 되도록 힘써 전 국민의 과학인화를 도모해야 한다.

저자
Katsumi Inoue(井上克巳)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5
권(호)
98(1)
잡지명
電子情報通信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35~39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