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첨가물과 자가 면역 질환 관계

전문가 제언

소득증가, 도시화, 광고 및 무역자유화에 따라 대량생산 식품과 식품첨가물 소비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추세와 함께 주로 서방국가에서 1형 당뇨병, 염증성 장 질환, 중증 무력증, 자가 면역성 갑상샘염 및 류머티즘 등의 자가 면역 질환(AD: Autoimmune Disease)이 늘어나고 있다. AD는 자기 장기조직이나 그 성분에 대해 항체가 생산되는 질환으로 원인이 명확하지 않아 치료가 곤란한 질환이다.

 

식품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널리 쓰이는 포도당, 소금, 유화제, 유기 용매, 글루텐, mTG(microbial TransGlutaminase) 및 나노입자 등 식품첨가물이 밀착연접(TJ: Tight Junction) 세포 간 이동을 불러와서 장 투과성을 늘려 AD 발병도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식이가 잠재적 환경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는 가설이 성립된다.

 

외부항원 침투를 막는 장 상피세포 투과성은 점막 면역계와 내부세포 TJ 조절에 따른다. TJ는 장 상피세포에서 미생물 기생을 막으며 단백질 상호작용과 병리과정에 포함되어 AD에서 TJ 역할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TJ의 병리 생리학적 조절은 효소, 식이성 펩타이드, 혐기성 세균, 기생충 및 염증 전구물질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영양분 유도 자가면역 질환의 발생에 대한 정확한 기제는 알려지지 않았다. 여러 가설이 제시되었으나 어떤 것도 정확히 설명하지 못한다. 자가 면역과 암을 늘리는 장 투과기능에 미치는 식품첨가물 효과에 대한 연구는 식품첨가물에 대한 정책, 소비자 각성, 규제 당국 및 공중보건 시행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섭식 방식이 서구화되면서 식품첨가물 소비는 꾸준히 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장 투과성과 일부 염증성 질환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나 청국장과 같은 전통 식품이 장 투과성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는 등의 극히 제한된 연구만 수행되었다. 따라서 우리도 대사성 질병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식품첨가물이 장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AD 증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저자
Aaron Lerner, Torsten Matthia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14()
잡지명
Autoimmuni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79~489
분석자
김*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