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소 제4위 전위증의 유전학
- 전문가 제언
-
○ 젖소의 제4위전위증(left displacement of abomasum, LDA)은 제4위(또는 주름위)가 제1위(반추위, rumen)의 오른쪽 아래의 정상위치에서 제1위의 왼쪽 위로 이동하는 증상이다. 이 질병은 젖소가 분만 후 처음 3주내에 일어나며, 우유생산이 갑자기 감소하고, 소는 먹이를 멀리하고, 위에 가스가 찬다. 여기서 Holstein 소에 대하여 LDA와 유전적 관계를 소개한다.
○ LDA의 전제는 제4위의 운동성 저하이고, DA에 대한 위험인자로는 분만문제, 쌍둥이 분만, 분만 전 고-신체충실지수, 건기의 과잉사료 공급등과 케통증과 자궁염과 같은 합병증이 있다. 특히 자궁염과 혈청의 BHB(β-hydoxybutyrate) 농도 증가가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이다.
○ 연관분석, 상관관계 연구, 그리고 GWAS 등 현대적 분자유전학적 연구기법을 사용하여 LDA와 관련된 유전체 구역이 소 염색체(BTA) 1, 3, 11 및 23에 위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17 소 염색체에서 LDA와 관련 있는 36개 SNPs도 밝혀졌고, 이것들은 LDA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 후보유전자 분석을 통해서 BTA23에 있는 LDA-QTL 인근부분에 motilin 유전자가 있다는 것을 밝히고, 이 펩티드 호르몬인 motilin은 위관장 운동을 조절한다. 작동물질인 erythromycin은 제4위전위증에 대한 교정수술을 받는 소에서 제4위의 비움속도를 개선한다. 또한 erythromycin이 운동촉진 효과를 나타낸다는 증거도 있다.
○ 국내의 DA에 관한 연구는 약간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예컨대, DA에 걸린 소에서 생리변화를 조사한 연구가 있었다. DA는 유전적 영향을 받는 질병이고, DA와 관련된 유전자와 유전체 구역을 찾아내면 DA의 발병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또한 우수한 젖소를 선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 저자
- Ina Zerbin, Stefanie Lehner, Ottmar Dist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204()
- 잡지명
- Veterinary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7~22
- 분석자
- 서*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