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계의 식량 손실·폐기 현황과 해결을 위한 대처

전문가 제언

세계 곡물 생산량은 식량 농업기구(FAO)의 2014년도 추계에 의하면 연간 약 25억 톤으로 전 세계 모든 사람이 먹을 수 있는 많은 식품을 생산되고 있다. 그런데도 약 11%인 8억500만 명이 굶주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에서 사람들이 식량의 약 1/3에 해당하는 약 13억 톤이 매년 버리고 있다고 보고되어 있는데 이는 20억 명이 먹을 수 있는 충분한 양으로, 자원을 손실하고 환경에 부정적인 부하를 줄 뿐만 아니라 경제적 가치의 손실로 이어지는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손실은 식량 공급망의 초기 단계인 재배 기간 및 수확 후 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반면, 폐기는 유통 및 소비와 같이 공급망의 마지막에서 일어난다.

 

우리나라는 음식문화와 인구의 증가, 생활여건의 향상, 식생활의 고급화 등 식량 손실 요인의 증가로 인해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식량 쓰레기는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최근 쓰레기 중에서도 가장 처리가 곤란한 환경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에 의하면 국내에서 발생하는 식량 쓰레기는 하루 1만4천여 톤(2010년 기준), 국민 1인당 식량 쓰레기 발생량은 0.28kg(2010년 기준)으로 프랑스 0.16kg, 스웨덴 0.086kg 등 선진국에 비해 많은 편이며, 전체 식량 쓰레기 중 약 70%가 가정이나 소형 음식점에서 발생함으로 우리가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조금만 신경을 쓴다면 식량 쓰레기를 줄일 수 있다고 본다.

 

우리나라 식량 자급률은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의하면 2014년도 49.8%, 사료용 포함 시 24.0%에 불과한 대표적인 식량 안보 취약국이며, 식품 낭비와 관련한 통계조차 없는 실정이다. 이에 식량의 손실과 폐기 및 비효율적 이용 측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안전하고 효율적인 식품공급을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저자
Mamada Yuk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56(5)
잡지명
食品と容器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76~283
분석자
이*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