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식품 포장 : 시장, 연구동향과 안전 규제
- 전문가 제언
-
○ 나노물질이란 1-100nm 크기의 불용성이며 생물학적으로 안정된 물질을 말하며, 고분자물질, 복합물질, 금속, 세라믹 등이 있다. 나노물질은 내구성, 내화성, 차단성, 유연성, 재활용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때문에 식품과 식품포장에 활용되고 있으며, 2013년도 이 분야의 세계시장은 65억 달러에 달했으며, 2020년에는 150억 달러로 12.7%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나노물질을 기존의 고분자 포장 재료에 도포하거나 첨가함으로서 차단성, 기계적 강도, 열 저항성 등을 강화하여준다. 다양한 나노물질이 식품포장의 기능성 첨가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은 나노입자(AgNP), 나노점토, 나노-산화아연(nano-ZnO), 티타늄 질화물 나노입자(nano-TiN), 나노-이산화 티타늄(nano-TiO₂) 등이 있다.
○ 나노물질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나노 식품포장재의 인체유해성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나노입자가 인체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연구부족으로 위험에 관련된 평가는 다양한 나노물질의 소비를 위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나노물질의 첨가함량을 포장재에 표기해야만 소비자에게 신뢰를 줄 것이다.
○ 식품이나 포장 면에서 나노물질의 안전성에 관한 명확한 규제가 미국이나 유럽연합의 법규에 아직 포함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각국에서는 안전성에 관한 문제점을 검토하고, 경보시스템이 구축되도록 상호협력 해야 할 것이며, 이 문제점은 국제적 계획정책의 테두리에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정부는 2011년도에 나노 관련제품에 대한 안전관리 지침을 이미 발표한 바 있으며, 2012년부터 “나노물질의 안전관리에 관한 제1차 계획”에 근거를 둔 연구계획이 발효 중에 있다. 현재 이 분야의 국내연구는 선진국 수준에 도달했으며, 따라서 앞으로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이 분야를 지원해야할 것이다.
- 저자
- Nattinee Bumbudsanpharoke and Seonghyuk K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80(5)
- 잡지명
- Journal of Food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910~923
- 분석자
- 장*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