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 개방형 와인 발효 모니터링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와인은 성분과 품질이 포도의 다양한 고유특성과 외인(外因)에 따라 다르게 생성되기 때문에 품질 좋은 포도가 반드시 품질 좋은 와인이 된다는 보장이 없다. 와인 제조과정은 복잡한 물리화학적 과정과 미생물 분해 합성과정을 통하여 와인이 제조된다. 이는 와인 제조과정이 과정마다 정교한 관리와 조정이 필요함을 말하고 있다. 와인 제조과정은 온도뿐만 아니라 산도와 알코올발효와 락산 발효과정도 정교하게 모니터링 된다.
○ WineDuino 시스템은 와인이 술독에서 숙성되는 동안 발효파라미터를 직접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실리콘 마개에 장착하는 노드들로 구성된다. 제품의 핵심은 Arduino Mini Pro 보드다. 14개의 디지털과 8개의 아날로그채널을 통하여 10-bit의 분해능으로 여러 개의 센서를 관리한다. 배터리수명은 130일이다. 이 자립상태는 발효연구에 적절한 조건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WineDuino 시스템은 고품질의 와인생산을 위한 유용한 DSS(Decision Support System)임을 확인한 것이다.
○ 소믈리에(Sommelier, 프랑스어)는 와인감별사를 말한다. 일반인에게는 생소한 이름이다. 그런데 2013년 한국의 와인수입이 총 27,714톤, 가격으로는 1억6400만 달러였다. 영동대학교 와인발효식품학과에서 소믈리에 전문가를 양성한다. 문화예술의 글로벌화 과정에서 음식문화도 변하고 있다. 2013년 10월에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전주 국제발효식품엑스포가 열렸으며 2013년 12월에는 한국의 ‘김장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와인은 포도당이 해당과정(glycolysis)으로 NADH 효소작용에 의해 에틸알코올이 되는 알코올 발효식품이다. 김치도 생강과 마늘이 들어가서 소금과 곁들여져 젖산균(Leu. mesenteroides)에 의해 발효된 발효식품이다. 된장, 고추장, 간장 등 우리의 전통식품이 모두 곰팡이, 효모, 세균 등에 의해 발효된 식품들이다. 이 음식들이 WineDuino와 같은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보다 더 감칠맛 나는 음식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Salvatore Filippo Di Gennaro , Alessandro Matese , Mirko Mancin, Jacopo Primicerio and Alberto Palliott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14()
- 잡지명
- Senso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3388~23397
- 분석자
- 윤*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