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내시경 역행 췌담관조영술(ERCP) 시술 시 환자의 피폭선량: 핀란드 다기관 연구

전문가 제언

환자가 받는 방사선량은 검사부위에 따라, 의료기관별로, 또한 국가마다 차이가 있다. UN의 보고에 의하면 유럽연합이나 OECD 국가의 경우 동일한 영상검사를 받았을지라도 환자가 받는 선량은 10100배의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ICRP2008년 출판물 103에서 진단방사선 분야에서의 의료영상을 목적으로 수행하는 방사선 검사에 대해서는 환자방어를 위한 최적화를 위해 환자선량 권고기준(DRLs, diagnostic reference levels)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ICRP 103에 의하면 투시촬영의 DRLs는 통상 25mGy/, 최대 100mGy/분으로 권고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 2010년 투시촬영에 대한 DRLs는 부위별로 다르지만 한 검사 당 면적선량 1221Gy·으로 설정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투시선량을 총 1.5Gy 이내로 저감시킨다는 목표를 하고 있다.

 

독일은 소장 투시촬영에 대해 면적선량 0.7Gy·으로 DRLs설정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투시방사선 촬영에 대해 65.3mGy/분으로 DRLs를 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ICRP 권고에 따라 2006년부터 의료기관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DRLs를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투시촬영에 대한 DRLs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많은 의료기관이 참여하는 적극적인 연구를 통해 DRLs를 마련해야 한다.

 

국내의 방사선 관련 업계에서도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로부터 방사선량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과 저장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웹 기반의 방사선량관리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연간 방사선 누적선량을 확인하고 검사 및 처방에 해당 정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DRLs 정보를 이용해 방사선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Ekaterina Saukk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21()
잡지명
Radiograph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31~135
분석자
유*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