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 북경에서 미세먼지(PM2.5)의 장거리 이동과 성분변화

전문가 제언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국가는 중국동북부 사막지역에서 발생하는 황사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어 황사 현상에 의한 PM2.5의 농도 변동이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일본의 경우 중국에서 불어오는 PM2.5를 측정하기 위하여 지역 에어로졸 격자관측 네트워크(DRAGON) 계획을 구축하여 한중일 3국 공조를 2012년부터 실시하였다. 중국의 경우 항공기를 이용하여 직접 오염물질을 포집하고 오염물의 미세먼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또한 초미세먼지들은 대부분 중국으로부터 이동되어 오기 때문에 한국과 중국, 일본 3국은 대기오염 장거리이동에 대한 조사연구 프로그램(LTP: Long-range Transport Program)을 구축하여 2003년부터 관측과 모델링 개발과 분석뿐만 아니라 12회 예보제도도 시행하고 있다.

 

2010PM10의 기준으로 볼 때 중국은 오직 3.6%만이 기준 대기질의 I등급을 만족하였다. PM2.5의 경우 85%, SO2의 경우 94%II등급 이상의 기준에 부합하여 우리나라 기준의 2배 이상의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염물질이 줄어들었다고 발표하지만 중국 대부분은 아직도 심각한 수준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봄철의 황사 현상 외에 여름철에도 중국으로부터 수송되는 PM2.5의 패턴이 약하게 나타나며, 가을에는 다시 중국으로부터 PM2.5가 모이는 분포를 보인다. 이는 아직도 동북아시아 PM2.5의 분포가 전적으로 중국대륙의 영향에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1990년부터 PM2.5 미세먼지를 전국으로 측정해온 미국은 켈리포니아를 비롯하여 각 주마다 상세관측과 심층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즉 고도에 따른 농도 변화와 식생연소와의 상관성, 경험적 모델에 의한 농도 예측과 공간분포의 비 균질성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성의 MODIS관측 을 활용한다. 유럽의 경우 도시와 농촌간의 화학적 대기 구성요소를 분석함과 동시에 장거리 이동에 따른 사망률을 조사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정보 수집이 요구된다.

 

저자
Lihui Han, Shuiyuan Cheng, Guoshun Zhuang, Hongbing Ning, Haiyan Wang, Wei Wei,Xiujuan Zha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10()
잡지명
Atmospheric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86~195
분석자
오*남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