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간장에서 분리한 효모의 glutaminase 생산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간장은 일본간장(shoyu, Japanese soy sauce)과 조선간장(ganjang, Korean soy sauce)으로 구별된다. 일본간장의 원료는 주로 콩(대두박)과 밀 전분을 혼합하여 사용하지만 조선간장은 콩만을 원료로 사용한다. 따라서 일본간장의 발효미생물은 단백질과 전분을 분해하는 koji 곰팡이(Asp. oryzae)가 주로 스타터로 이용되지만 조선간장의 발효에는 메주 중의 다양한 미생물(박테리아, 유산균, 효모)이 관련된다.
○ 간장은 사용하는 원료, 소금농도, 온도 등 제조 및 발효조건에 따라 다양한 미생물이 관련되며 관련 효소는 주로 protease, peptidase, amylase, glutaminase 등이 보고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태국간장의 발효 중에 분리한 Meyerozyma(Pichia) guilliermondii EM2Y61의 동정, 세포외 glutaminase의 특성, glutamic acid 생산 등 간장발효 스타터 효모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여 최초로 보고하였다.
○ 간장발효와 관련된 국내 미생물 연구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어 1990년대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2000년대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되고 있다. 발효미생물로는 S. rouxii(최수복 등 1992), Z. rouxii와 C. versatilis(류병호 등 1993), B. subtilis(최청 등 1996, 최광수 등 1999), B. licheniformis(이재중 등 1999), R. stolonifer(김동호 등 1999), P. guilliermondi와 C. fermentati(김원찬 등 2009)가 보고되었다.
○ 한편 송영철과 이삼빈(2013)은 비지 koji 첨가에 따른 양조간장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평가에서 제국용 균주로 A. oryzae를 사용하였고 발효 중 protease와 amylase 활성과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일본식 개량간장은 이미 그 생산 공정이 확립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 전통간장은 메주제조와 발효숙성의 생산 공정이 확립되지 않았고 수요자는 저염 간장을 선호하고 있다. 앞으로 맛과 향미가 풍부한 간장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콩 원료선택, 메주 제조, 간장 발효공정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메주와 저염 발효와 관련된 스타터 미생물의 확보와 발효공정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 저자
- Phichayaphorn Aryuma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192()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12
- 분석자
- 민*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