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핵연료파편의 인출에 관한 연구의 현황과 과제

전문가 제언

후쿠시마 제1원전 4호기의 사용후핵연료 풀에서 핵연료인출이 20131118일부터 시작되었고,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 14호기의 폐로조치 등을 위한 중장기로드맵이 다음 단계(2)로 이행되었다. 2기의 목표는 2020년 이후에 핵연료파편 인출을 개시하고 필요한 현장작업과 관련 연구개발을 신속히 수행하는 것이다.

 

미국 TMI-2 원전사고 대응에서 얻은 경험을 기초로 하여, 현재 작업자 피폭을 최소로 억제하기 위해서 원자로 격납용기를 관수상태로 하여 연료파편 인출을 하는 것이 전제되고 있다. 한편 2013627일의 중장기로드맵 개정에서는, 종래의 방향성에 추가하여 관수방식의 검토·실시에 수반되는 예상과제들을 감안한 대체공법에 대한 검토가 추가되었으며, 이에 따라 핵연료파편 인출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원전 23기를 가동하고 있는 원전선진국으로, 조만간 원전 운영기간이 만료되면서 폐로조치를 취해야 할 실정인 동시에 폐로에 수반되는 핵연료파편 인출 등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절실히 필요한 입장이다. 따라서 원전선진국들의 폐로조치에 관한 지혜와 경험을 참고로 하여 연구하고 대처해야 할 것이다.

 

20153월에 국내 미래창조과학부와 영국의 에너지·기후변화부는 원자력시설 해체기술 공동연구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으며, 선정된 신규과제는 원전해체 현장에서 접근이 어려운 장소에 사용할 수 있는 첨단 로봇 및 사용후핵연료 재활용 단계에서 발생하는 장반감기 방사성 핵종 처리기술 등 5개 과제이었다. 20154월에 본격적으로 착수되는 연구 프로젝트에 한국 30억 원 및 영국 220만 파운드 등 3년간 총 67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것은 영국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원전해체 선진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저자
Suzuki, S., Kinoshita, H., Yukinori, S., Anekawa, H.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56(8)
잡지명
日本原子力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95~499
분석자
문*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