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박형 유연 그래핀 필름: EMI 차폐 및 방열 복합기능재료
- 전문가 제언
-
○ 본 논문은 제목으로 미루어 보면 초박형 유연 그래핀 필름개발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 같지만 내용에서는 실용적이고 대면적이 가능한 제조방법을 다루고 있다. GO현탁액의 직접증발법과 연이은 비교적 온화한 조건의 흑연화 과정이 이 공정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다.
○ EMI차폐 및 방열 복합기능 소재로서의 그래핀 필름의 용도를 휴대용 전자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비록 다루는 시스템의 크기는 다를지라도 오늘날 그러한 소재의 요구가 점증하고 있는 자동차, 특히 전기자동차에도 그 응용이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 소위 미래의 자동차로 불리는 전기자동차는 이제 시험운전을 거쳐 본격적인 생산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2020년이면 보급량이 전 세계적으로 130만 대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국내에서도 다가오는 전기자동차의 시대를 대비하는 연구개발과 보급계획이 민관합동으로 진행되고 있다.
○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국내 자동차업계나 자동차 부품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EMI차폐 및 방열 복합기능 소재의 발전추이가 벤치마킹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자칫 국지적인 문제로 전락하여 소홀히 취급될 가 걱정스러운 면도 없지 않다.
○ 그러나 다행스럽고 낙관적인 관점은 세계적으로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국내 전자업계에서 유사한 소재의 개발에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탄소나노튜브나 그래핀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며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 그 많은 연구결과물들 중에서 가장 실용성이 있는 것은 가격/성능의 균형이 가장 잘 맞는 것임을 감안할 때 우리의 연구결과도 중요하지만 다른 연구결과를 비교 검토하는 과정도 필수적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의 결과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 저자
- Bin Shen, Wentao Zhai, and Wenge Zhe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24()
- 잡지명
-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542~4548
- 분석자
- 최*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