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기후모형(RCM)을 이용한 하천유역의 강우량 예측
- 전문가 제언
-
○ 세계기후 연구프로그램(WCRP)은 인위적인 기후변화의 과학적 예측을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 중에 있다. 특히 기후변화의 속도와 취약지역 환경과 강수 등 수문순환에 미치는 영향, 호우와 태풍 등 극한현상 발생 등은 아직까지 불확실성이 큰 분야이다.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하여 관측과 이해, 전구와 지역기후변화를 전망하기 위하여 기후 모델링과 관측은 필수적 연구 분야이다.
○ WCRP에서는 제5차 결합기후모형 상호비교사업(CMIP5)에서 새로운 기후예측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미래기후변화와 그 영향을 예측하고 있다. 현재 14개국이 참여하는 다중모델앙상블 방법으로 미래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강수의 변화를 특정지역에 적용하여 전망하고 있다. 기후의 장기전망(100-300년)에 추가하여 고해상도 단기전망을 산출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가 아프리카 지역 블루나일상류지역(UBN)의 기후변화 강수예측이다.
○ 지구시스템모델을 통한 전 지구 기후변화 전망 기법은 각 지역의 상세한 지역기후 변화정보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WCRP의 지역기후모델링 그룹에서는 지역기후 상세화실험(CORDEX)을 적극 추진 중이다. 기본적인 설계는 세계를 12개 지역으로 구분하고 다양한 지구시스템모델과 지역기후모델을 이용하여 기후변화를 전망하여 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 기후변화로 인하여 가장 뚜렷한 지구적 변화는 대기 해양 물순환의 변화이다. 그 중 가장 심각하게 변화되고 있는 물 순환은 하천유역의 수자원공급이다. 봄철 우리나라 가뭄과 연관된 대기대순환의 변화로서 1970년 후반부터 강수대의 변화는 동아시아 몬순의 변화로 이어져 동아시아 몬순변화와 음의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 블루나일 하천유역의 강수변화 예측에 대기대순환모델(GCM)의 규모축소로 지역규모 기후모델(RCM)을 사용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확도 및 오차 검증과 앙상블기법을 선택한 것은 타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좋은 국제적 기술동향 사례이다.
- 저자
- Alemseged Tamiru Haile, Tom Rientje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61()
- 잡지명
- Atmospheric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7~64
- 분석자
- 오*남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