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 중국해 상공의 대기 중 질소화합물 연구

전문가 제언

대기오염 물질 가운데 초미세입자인 PM2.5는 농도가 1단위 증가할 때마다 저 체중아 출산위험이 10%씩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어서 PM10과 함께 초미세입자 PM2.5의 위해성에 대해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있다.

 

최근 대기화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중국대륙에서 수송되는 대기오염물질가운데 미세입자인 입자상 질산염인 NO3-(p), 질산암모늄인 NH4NO3가 포함되는데 이 가운데 NH4NO3는 암모니아와 가스상 질산인 HNO3(g)로 분해되고 이때 생성된 HNO3(g)는 조대입자인 해염입자나 토양입자와 반응해서 조대입자인 질산염을 생성함을 밝혀냈다.

 

이러한 초미세 질소산화물은 자동차 매연, 발전소나 인쇄공정 등에서 발생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대기 성층권에서도 관측되고 있어서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 우리나라와 일본은 중국 대륙에서 날아오는 황사와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최근 국립환경과학원의 연구에서는 부쩍 잦아진 겨울철 황사에 주목하고 있으며 봄철 황사에 비해 질산암모늄과 황산암모늄, 유해성 중금속, 탄소성분 등 오염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중국대륙에서 월경하는 오염물질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지상의 고정 관측소에서 채취한 측정결과로서 오염물질 이동에 대한 공간적인 정보와 수송과정에서 2차 및 3차 대기화학 반응의 해명, 그리고 이들이 풍하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LIDAR 관측 등이 보완 실시되고 있으나 보다 실시간 원시정보의 습득을 위해서는 항공기 관측이 매우 효과적이므로 보완 연구가 필요하며, 아울러 한중일 3국의 국제공조로 상호 항공기 관측 원시자료에 대한 공동연구도 심화시켜야 할 것으로 본다.

저자
Yasuhiro SADANAG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29(S1)
잡지명
エアロゾル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7~124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