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건강과 질환에 공액 리놀레산의 역할

전문가 제언

Conjugated linoleic acid(CLA)1979Wisconsin 대학의 연구원들이 암에 걸린 쥐 피부에 쇠고기 추출물을 바른 결과 암이 감소하였고 이후 1987년에 같은 연구원인 ParizaCLA를 발견하였다. CLA는 탄소가 18개이고 이중결합이 2개인 불포화지방산이고, 28개 이성질체가 가능하나 이중에서 생물활성인 것은 c9, t11-CLAt10, c12-CLA이다. 여기서 건강과 질병에 주는 CLA효과에 대해 발표된 내용을 설명하겠다.

 

CLA는 항암작용을 나타낸다. 동물실험에서 CLA이성질체의 혼합물과 c9, t11-CLAt10, c12-CLA는 단독으로 전립선암, 결장암 및 유방암세포를 포함한 여러 세포주에 대해서 항-증식성을 나타내었다. 마찬가지로 사람 결장암과 유방암을 포함한 여러 가지 종양세포에 대해서도 항-증식활성을 나타낸다.

 

CLA효과에 대한 동물실험결과, 생쥐, , 햄스터 및 돼지 등의 많은 동물들에서 체지방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인체에서의 연구에서도 건강한 사람(1.8g CLA/day)과 과체중이고 비만인 사람(1.7g~6.8g CLA/day)12주간 투여하였을 때 체중에는 변화 없이 지방 량이 상당히 감소하였다(지방의 4%). 이밖에도 CLA는 항-염증성, 당뇨병에서 인슐린 감수성회복, 동맥경화증의 경감 등의 긍정적 효과를 나타낸다.

 

CLA는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유익한 효과 외에도 부작용도 나타낸다. 보호조치 없CLA 공급은 방목한 암양에서 우유생산과 우유성분의 분비가 감소하였다. 암컷 마우스 실험에서 고인슐린혈증과 간지방 축적을 나타내었고, 건강한 폐경 후 여성에서 지방산화가 증가하는 등 CLA의 부작용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국내에서도 비만과 골다공증 예방에 대한 CLA의 역할에 관한 연구 또는 CLA가 삽입된 diacylglycerol의 지방대사에 주는 영향 등 많은 연구가 이뤄졌다. 앞으로 CLA의 일일 사용량, 사용기간 등이 정량적으로 연구되어야겠고, 분자수준에서 CLA의 작용 기작이 밝혀져야 할 것이다.

저자
Bo Ya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15()
잡지명
Journal of Functional Food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14~325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