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치환페놀 독성의 정량적 구조-활성상관

전문가 제언

정량적 구조-활성상관 패러다임은 약용화학과 독물학의 리간드와 수용체 간 상호작용을 조사하는 우수한 방안을 제공하는데 최근에는 농약신제품 개발과 독성평가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 접근을 이용한 제형모델의 횡적 유효성 검사는 관련 분자의 특정계열에 대한 기계적 기초를 이해할 수 있다.

 

현재까지 치환페놀의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은 원생동물에서 일반 동물까지 비교 시험되었다. 치환페놀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물학적 활성 간의 상관관계는 다양한 모델 간에 강력한 일관성을 보였다. 특히 소수성과 전자의 두 파라미터는 이들 화합물과 그들 분자 타깃 간 상호작용의 크기를 지배하였다.

 

소수성은 파이(π) 값 혹은 분배계수로 표시되며 전자분포는 분자괘도함수나 Hammett의 시그마상수로 기술되어 이들 기계적인 모델의 유사성 정의에 일조하여 분자 수준의 일정한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

 

QSAR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분자단위 공정에서 주요 사항을 탐색할 수 있고, 보유한 데이터의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비롯하여 실험과 신물질에 대한 구상과 해석 및 후보 대체물질의 선별 및 서열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의 국내 연구동향을 보면 정량적 구조-활성상관을 이용한 환경 중 잔류 의약품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독성 예측을 비롯하여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가 지중해 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 발생에 미치는 영향 및 PAHs 독성 예측을 위한 QSAR 모형 등이 수행되었으나 작물보호를 위한 농약개발에는 별다른 동향을 보이지 않고 있다.

 

저자
C. Selassie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40(1)
잡지명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2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