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A 입자형성의 새로운 통찰과 PHB의 신기능
- 전문가 제언
-
○ PHB(polyhydroxybutyrate)와 관련 PHA(polyhydroxyalkanoate) 대사는 지난 30여 년간 수많은 연구 그룹에서 조사하였고 이들 저장 분자계열의 생물학적 분해와 바이오합성 메커니즘 규명에 많은 진전이 있었으나 PHB 합성이 시작될 때 일어나는 분자 이벤트와 PHB/PHA 입자형성의 상세한 초기현상 등은 최근에야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 더욱이 PHB/PHA 입자의 단백질성 표층의 복합적인 조성 역시 최근에야 연구초점이 맞춰지고 있고 아직도 검토되지 않은 사항이 상당수 남아 있다. 이 같은 연구현황에 따라 본고에서는 PHB 축적 그람음성 토양 박테리아 Ralstonia eutropha H16을 대표사례로 PHA 입자 복합체의 형성과 초기현상을 요약하였다.
○ 따라서 적절한 곳에서는 중쇄길이의 PHA를 축적하는 Pseudomonas putida 박테리아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키었으며, 박테리아 핵상물질을 형성하게 될 PHB 합성효소 초기복합체에 대한 이전의 비계모델을 대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 다른 형태의 PHB에서 100∼200개의 3HB(3-hydroxybutyrate)로 구성된 oligo-PHB와 공유결합의 cPHB는 저장 PHB 기능과는 관련이 없지만 모든 살아있는 생물에 존재하여 이들 PHB의 근본적인 중요성도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 최근의 국내 연구동향을 보면 대학 및 연구소에서 공생 균의 생존 비밀을 규명하기 위한 생존 메커니즘을 비롯해서 작물에서 유용한 바이오폴리머생산을 위한 PHB/PHA 활용방안이 수행되고 있었다. 이들 PHB 화합물은 척박한 환경에서 공생 균이 살아남기 위해 영양분이 풍부할 때 당이나 물에 녹지 않는 지질 등으로부터 체내에 축적하는 탄소원 저장물질이다.
- 저자
- D. Jendrossek,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16(8)
- 잡지명
- Environmental Micro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357~2373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