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이 폴리페놀의 내피기능조절과 심혈관질환 예방

전문가 제언

내피세포는 모든 혈관의 내부표면을 형성하는 얇은 단일세포층이다. 이들 세포들은 심장으로부터 모세혈관까지 이르는 전체 순환계에 내피층을 이루고 있다. 지난 20여년간의 연구로 이 내피세포가 대사, 면역, 심혈관에 대한 건강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내피세포는 기본적인 게이트키핑(Gate-keeping) 역할 외에 혈관형성, 혈류촉진, 산화질소(NO) 생성 등을 통해 심혈관 건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므로 내피기능장애는 혈관질환에 대한 특징으로서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발병의 주요한 이벤트일 뿐만 아니라 류머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에서도 나타난다.

 

식이 폴리페놀은 이와 같은 퇴행성 질환인 심혈관질환, , 골다공증 등의 예방에 기여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으며 신경퇴행성 질병과 당뇨병의 예방에 대한 역할도 시사되고 있다. 그러나 식이 폴리페놀의 건강에 대한 효과를 해명하는데 가장 어려운 점 가운데 하나는 일부 대분류되어 있기는 하지만 수 많은 폴리페놀 화합물의 종류이다.

 

국내에서는 복분자, 오미자, 구기자 등을 비롯한 약초 등에 포함된 폴리페놀의 노화방지 효과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피부미용에 이르기가지 활용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해조류 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활용의 일원으로서 폴리페놀에 대헤서도 관심이 늘어가고 있다.

 

식이 폴리페놀은 식물원료와 그 구조의 다양성 때문에 화학구조상의 분류체계(플라보노이드와 비플라보노이드 등)는 일부 확립되어 있으나 구조내 효능기에 대한 분류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각 대상 질병(심장질환, 노화현상 등)에 대한 폴리페놀의 대사(; 내피세포의 NO생성 조절 등)와 효능에 대한 명확한 메커니즘이 밝혀져야만 효능기에 따라 분류체계가 확인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매우 광범하고 복잡하므로 관련연구계에서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계획하에 특정분야별 분업적인 집중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저자
Kazuo Yamagata Ph.D.,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31()
잡지명
Nutri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8~37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