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근무 중 식사와 스트레스: 공중보건 증진을 위한 개입의 필요성과 식품 개발 기회

전문가 제언

스트레스는 어떤 환경적 조건이나 자극과 같은 요인에 대한 유기체의 반응이다. 스트레스성 사건에 따라 대응하는 몸의 상태는 교감신경계에 의해 투쟁 혹은 도피반응을 일으키는 몸의 보호장치이다. 이 반응이 적절히 작동할 때에는 몸이 정력적이고 기민해지면서 비상사태시에는 자신을 방어하는 보다 강력한 힘을 제공한다.

 

그러나 일단 어느 선을 넘어 체내 생화학적 과정의 항상성이 깨지면 스트레스는 건강, 감정, QOL에 주요한 손상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과도한 스트레스에서는 아드레날린과 코티솔을 포함한 스트레스 호르몬의 방출로 신경계가 반응하여 우발행동을 일으키게 한다. 이러한 대응하기 힘든 스트레스는 심각한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직장에서도 대인관계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스트레스(급성이든 만성이든)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피하고 스트레스성 상태를 바꾸며 스트레스요인에 적응하거나 수용하는 자세뿐만 아니라 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한 육체적 건강을 강화해야 한다. 여기에는 휴식, 정기적인 운동, 건강식, 숙면 등이 있다. 이 중에 건강식은 매일 섭취하게 되는 스트레스 해소방법이다.

 

건강식과 충분한 영양섭취는 스트레스 환자가 정신적이며 육체적인 스트레스 해소방법에 반드시 함께 취해야 할 부분으로서 풍부한 영양기반, 뇌에 세로토닌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는 복합탄수화물, 스트레스유도 식습관을 피할 수 있는 건강간식 등을 들 수 있다.

 

국내에서도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다양한 질병(우울증, 건선, 탈모 등)이 암환자, 젊은 층 등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명확한 분야별 통계는 나와 있지 않다. 스트레스에 의한 자가면역으로 발생되는 이러한 질병은 워낙 다양하여 통계조차 내기 힘든 상황이다. 스트레스는 그 발생요인의 복잡성부터 이로 인해 나타나는 다양한 질병까지 그 생리적 메커니즘이 명확히 밝혀져야만 이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 해소책이 개발될 가능성이 커진다. 국내 의학계에서도 체계적이고 분업화된 연구를 통해 새로운 스트레스 해소방법을 개발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저자
Barbara J.Stewart knox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35()
잡지명
Trend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2~60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