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OTP와 얼굴특징을 이용한 ATM기기의 보안개선

전문가 제언

국내외 금융권의 핀테크에 대한 관심도가 높으나 기존 인증기술과 혼합방식으로 추가되는 생체인식 인증기술의 인식과 도입, 적용기술에는 차이가 있다. 금융 비대면 거래시 고객 식별방법으로 투 채널 인증이외 에 생체인식 인증이 결합되는 방향이 유력해 보인다. 고객의 민감성을 최우선 순위로 둘 때,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생체인증방식의 선택과 표준화는 기술구현과 별개일수 있다. 즉 범용성, 편의성, 경제성 확보와 기술적 리스크 대처 방안이 시급한 과제이다.

 

최근 한국은행 금융결제국 전자금융팀의 ‘신종 전자지급서비스의 확산 및 제약요인과 과제' 보고서에 의하면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검토를 거쳐 전자금융 생체 인증 분야에 대한 표준화와 검증을 추진한다고 한다. 국내 경우 지문, 홍채, 손바닥 및 지 정맥의 활용이 이슈가 된 가운데 얼굴인식에 대한 부분은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으나 검토대상에 편입시킬 필요가 있다. CeBit 2015에서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은 본 논문과 유사한 개념의 모바일 결제 플랫폼 ‘Smile to Pay’를 시연했으며 애플도 모바일 기기 보안관련 특허를 출원했다.

 

OTP 역시 SaaS인증을 위해 신용카드에 그 기능을 삽입하여 인증하는 솔루션이 국내 업체에 의해 발표되고 있고, 모바일 전용 OTP도 출시된 만큼, 얼굴인식과 OTP의 혼합솔루션으로 하이브리드 생체인식 인증방법을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국가별로 핀테크 전략과 구현기술의 적용수준이 다르나 실질적 선택은 수요자인 고객의 몫이므로 공급자의 기술선택은 표준화와 범용적 솔루션에 집중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얼굴인식기술의 상용화에 있어 조도와 투사방향, 화장, 안경 및 모자 의 착용여부, 수염, 가발 착용 등과 같은 영향 요소에 따라 이미지 왜곡현상이나 변화량의 편차가 커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지속적인 연구개발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다. 실용화 기술인 OTP 역시 OTP키 생성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OTP 글로벌시장은 년 7.4% 성장 전망이 있어 OTP와 얼굴인식기술 기반의 맞춤형 혼합 인증 시스템으로 국내외 시장에 대한 도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저자
Mohsin Karovaliya, Saifali Karedia, Sharad Oza, Dr.D.R.Kalband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45()
잡지명
Procedia Computer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90~396
분석자
조*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