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기술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는 양자광학
- 전문가 제언
-
○ 빛에 대한 연구인 광학은 뉴턴 이래로 과학의 핵심 분야의 하나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기하광학 및 물리광학 등의 방법을 통하여 안경, 현미경, 망원경 등 많은 새로운 발견과 발명을 가져왔다. 특히 20세기 초기 양자역학의 등장과 함께 시작된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에 관한 연구는 자연에 대한 이해를 한층 심화시켰으며 그 후 등장한 레이저 등의 광학 및 전자기기는 인간의 생활양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 특히 빛의 알갱이인 광자를 직접 관측하고 조작하는 양자광학의 발전은 양자역학 등 과학의 난제를 더 깊게 이해하는 데 기여함은 물론 통신, 암호, 컴퓨터의 개발 등 기술의 발전에도 새로운 혁명을 가져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양자광학의 최근 동향과 전망을 소개하여 이 분야에 종사하는 연구자에게는 물론 일반인에게도 이 분야를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 선진 각국에서는 양자광학 연구에 많은 투자를 아끼고 있지 않으며 그 결과로 연구에 많은 진전을 보여 1997년, 2001년, 2005년, 그리고 2012년에 양자광학에 관한 연구업적에 노벨 물리학상이 수여된 바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 Harvard, Cal Tech 등이 Quantum Optics Center를 설치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독일의 경우에는 뮌헨에 설립된 Max-Planck Inst. for Quantum Optics가 세계적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광학 연구는 KAIST의 이상수 교수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이후 국내 광학의 연구는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분야로 발전하였다. 최근 서울대 정현석 교수는 양자 컴퓨터나 양자 통신에 활용되는 양자 얽힘 상태의 광자를 다량으로 순간 이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내어 주목을 받은 바 있다(Phys. Rev. Lett. 114, 113603, 2015). 그 외 KAIST, 서울대, 포항대 등이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어 앞으로 투자가 계속될 경우 선도적 업적이 기대된다.
- 저자
- I. A. Walmsle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기초과학
- 연도
- 2015
- 권(호)
- 348(6234)
- 잡지명
-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기초과학
- 페이지
- 525~530
- 분석자
- 김*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