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형성층 형성과 증식: 동전의 양면?

전문가 제언

고등식물체는 보통 (전)형성층에 의해 팽배되는데, 이는 중요한 시기와 장소에서 관-조직 생산 잠재력이 있는 분열조직세포의 망상-시스템이다. 고로 장거리 수송능력과 식물체 안정성을 특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전)형성층은 기초를 마련한다. (전)형성층 세포의 착수와 증식을 담당하는 확연한 조절네트워크가 확인되어왔다. 그러나 이들 네트워크 간의 단단한 상호작용이 예상되더라도, 이들의 관련성은 산발적으로만 정립되어왔다. 본 논문에는 (전)형성층 발육이 어떻게 조절되는지에 대한 최근 발견이 강조되고, (전)형성층 형성과 형성층 증식을 조절하는 네트워크 간의 가능한 경계면이 검토된다.

 

본 리뷰와 관련된 최근의 국내 연구는, “감나무 유식물의 줄기에서 유관속 형성층의 초기발생, 김승희, 전남대 석사학위논문”, “고욤나무에서 유관속 형성층의 초기발생과 유형, 이영숙, 전남대 석사학위논문, 2005” 등으로 의외로 드물다.

 

그러나 지난 세기에는 주로 두충나무, 잣나무, 은행나무, 은단풍, 감나무, 아카시아 등의 나무와 피마자, 대두, 수수꽃다리, 고사리삼에 대한 “유관속 형성층 기원과 발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현재 “형성층 또는 전형성층 분리방법”에 관한 특허가 여러 건 출원되어있다.

 

장차 형성층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려면, “옥신과 CK 신호 간의 억제 상호작용의 세포-기초한 컴퓨터 모델링”, “뿌리내초세포와 줄기 유관속간조직대에서의 관-형성층 형성 중, 세포 전환분화의 분자기전 분석”, “다양한 조직과 여러 발육단계에서의 (전)형성층-특이 유전자와 유전자 기능적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저자
Virginie Jouannet, Klaus Brackmann and Thomas Greb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23()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4~60
분석자
김*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