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측량 기법에 의한 절리 암반사면의 안정성 분석
- 전문가 제언
-
○ 불연속면 암반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불럭 이론은 암반 불럭의 3차원 도식을 통해서 파괴에 취약한 불럭을 확인하여 처방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불럭이론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불연속면 특성을 정확히 측정해야 하지만, 실제 야외 조사에서는 정확하고 충분한 측정이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불연속면이 발달한 암반사면은 대부분 접근하여 측정하는데 위험성이 있어 직접 조사가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직접 측정하는데 위험성이 있은 균열 암반사면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방법 중 사진측량 기법은 기존의 전통적 직접 조사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 방법의 최대 장점은 측정의 정밀성을 확보하면서 조사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사진측량과 불럭이론의 장점들을 활용하여 도로 변의 자연 암반사면 안정성을 평가한 사례이다.
○ 본 연구의 기본 개념은 사면을 16개 불럭으로 구분하고 사진측량으로 각 불럭의 3차원 사면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사진측량 기법으로 암반사면 절리 세트의 기하형상(방향, 경사 등)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3D 사진측량 모델을 이용하면 사면 안정성 해석의 주요 인자인 절리 거칠기 계수를 알 수 있다. 최종적으로 불럭과 불연속면의 3차원 특성 분석은 Sirovision 이라고 하는 컴퓨터 코드를 이용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2005년 입체사진을 통하여 암반 절취면의 지질구조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사진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작한 바 있다(황상기, 2005). 위 연구에서는 불연속면의 사진측정과 직접측정의 결과를 비교하여 약 10° 내외의 오차를 확인하여, 사진측정의 현장 적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린바 있다. 그러나 사면 안정성 해석을 위해서는 불연속면 구조해석 뿐 아니라 불연속면의 기하형상(방향, 간격 등)과 공학적 특성(거칠기, 마찰각, 강도 등)의 정보를 수반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Dong Hyun Kim, Ivan Gratchev, Arumugam Balasubramaniam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2()
- 잡지명
- Landslid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47~154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