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토양침식 현황: 지표유출 자료에 의한 분석
- 전문가 제언
-
○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에서 발생하는 지표유출과 토양 유실의 규모 및 변동성을 분석하고, 중국에서의 토양침식과 다른 나라에서의 토양침식 현상을 비교하여 지역에 따른 토양침식 변화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토양의 성질, 강우조건, 지형조건, 토지이용 종류, 측정방법 등 상이한 조건들 때문에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 토양침식의 정도를 해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침식의 강도(intensity)를 5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가장 낮은 토양침식은 그룹1에 속하고 가장 강한 침식은 그룹5에 해당한다. 강도의 크기는 거의 사면경사와 강우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지형과 강우 강도가 토양침식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 중국 남부는 강한 강우가 토양침식과 관련되어 있고 북부는 비교적 가파른 사면경사와 연관되어 있다. 침식 강도에 따라 분류할 때 중국의 북동 및 북부 지역은 그룹3, 북서부 지역은 그룹4, 중국 남서부와 남부지역은 침식율이 가장 강한 그룹5에 해당한다.
○ 다른 나라와 중국의 경작지 토양침식을 비교해 보면 중국이 다소 높은 편이다. 유럽이 침식강도 그룹2에 해당되어 토양침식이 전 세계에서 가장 낮고, 호주와 미국은 유럽 보다 다소 높은 그룹4, 그리고 아프리카는 가장 높은 그룹5에 해당한다. 가장 높은 그룹에 속하는 중국 남부 지역의 경우 헥타르(ha) 당 연간 지표유출과 토양 침식량은 각각 378∼462mm와 74∼153톤으로 산정되었다.
○ 한국에서도 분산형 모델인 USEL 모델과 물리학 기반의 GeoWEPP 모델을 이용하여 경기도의 소유역에서 토사유출량을 모사하고 이를 실측한 결과와 비교한바 있다(김민석 외, 2007). 그 결과 1년간의 실제 토사 유출량은 270톤, USEL 모델 적용 시 358톤, GeoWEPP 모델 적용 시 283톤이 산출되었다. 그 외에 섬진강 소유역의 토사유출연구도 보고된바 있다(곽재호 외, 2005). 그러나 토지이용 측면에서 유역이 아닌 경작지나 초지 등에서의 토양침식 연구도 필요한 시점이다.
- 저자
- Qiankun Guo, Yanfang Hao, Baoyuan Li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24()
- 잡지명
- CATEN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8~76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