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지역 강우처리에 식생체류지의 필요성
- 전문가 제언
-
○ 식생체류지(bioretention)시스템은 비 침투성 지표면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강우를 받아들이는 축소된 조경지대로 이는 여러 층의 필터 막, 초목, 월류 보(overflow weir) 및 속도랑(underdrain)으로 구성되어 있다. Bioretention 구획은 일반적으로 2 헥트아르 보다 작은 저수지역을 처리하고 bioretention 시스템은 강우량의 흐름과 양을 제지하는 자연적인 수문학적 순환을 흉내 내고 있다.
○ Bioretention은 작은 구획의 소규모 시스템이지만 의태성의 생태적인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물리적으로 생물학적으로 아주 복잡하다. 이는 자연적인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과 비슷한 과정으로 도시지역의 수문학적인, 생태학적인 복원을 제공하는데 많은 노력을 요구한다. 본 시스템에 대한 개선된 성능평가는 하류지역의 수질을 만족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서의 식생제류지에 대한 설치 필요성과 그의 적용 예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도시화에 따른 공해물질의 발생증가를 되도록 자연 의태적인 생물학적 처리방법과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질소, 인 및 금속물질, 총 부유물질의 제거방법과 온도저하와 생물학적 다양성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 그동안 기존 도시 및 산업단지 등은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와 같은 불투수면으로 인해 빗물이 지하로 침투되지 못하면서 강우 시 수질오염물질 증가, 도시 침수, 지하수 고갈 등의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환경부와 행정중심 복합도시를 중심으로 작년 3월 27일 이후 적극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 저자
- Jia Liu, David J. Sample, Cameron Bell and Yuntao Gua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6()
- 잡지명
- Wat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069~1099
- 분석자
- 손*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