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용접시 바람의 속도에 따른 다층용접금속의 품질 평가
- 전문가 제언
-
○ 아크용접에서 용접건을 통과한 후 전극을 둘러싸고 있는 노즐에서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실드가스의 역활은 아크 주위의 공기를 밀어내고 용융금속을 보호하여 용융금속풀과 용접전극이 대기중의 산소, 질소,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맡고 있다. 용접중 실드가스의 양이 부족하면 기공, 언더컷, 용입불량과 같은 결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바람이 많이 부는 야외에서 플럭스코어드 아크용접이나 MAG용접과 같은 가스실드 아크용접법을 이용하여 선박의 T-Bulkhead Block이나 Curved-Block 등의 중조물, 해양구조물과 같은 대형 제품울 대조립하는 경우 바람에 실드가스가 의해 용접중의 아크상태와 용융지 거동이 큰 영향을 받는다. 이와 같은 작업환경에서 용접공정을 많이 사용하는 선박?해양기자재 산업체에는 실드가스에 미치는 바람 속도의 영향을 심도있게 분석?정리한 최신의 기술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 가스실드형 플럭스코어드 아크용접(FCAW-G)법으로 철강재료(연강, 저합금강, 스테인리스강 등)를 용접할 때 Ar/CO2 혼합가스를 실드가스로 사용하면 100% Ar의 실드가스를 사용할 때에 비해 과도한 용융을 피할 수 있다. 한편 Ar 위주의 실드가스는 다른 실드가스에 비해 용접열의 분산이 적어 폭이 좁은 용입부를 만들어 준다. 산소는 이온화가 낮고 열전도성이 높기 때문에 CO2에 비해 비드폭이 넓으면서 용입이 얕은 형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산소를 첨가하면 용착금속의 충격인성과 항복강도가 향상된다.
○ 바람이 불어서 아크용접시 실드가스가 아크분위기와 용융지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면 블로우홀 및 피트 등이 발생하는 실드불량(incomplete shielding)이 나타난다. 따라서 아크부위에 2.0m/sec 이상의 바람이 부는 상태에서 가스메탈 아크용접부의 용접품질과 성능을 확보할 목적으로 실드가스의 유량을 선정할 경우에는 용접기, 용접재료, 용접설계, 그리고 날씨와 바람의 조건 등에 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실드가스 조건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저자
- Suzuki Reiich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32(4)
- 잡지명
- 溶接學會論文集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42~250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