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율무인잠수정(AUV)을 이용한 수중구조물 검사

전문가 제언

자율무인잠수정(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UV)에 의한 수중구조물과 시설 검사는 연안산업에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원격무인잠수정(ROV)이나 잠수사를 배치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AUV의 큰 장점은 작업량이 현저히 줄어들고, 모선과 통신·전력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대폭 감소한다는 점이다.

 

이 해설논문은 독일의 Fraunhofer 광전자·시스템기술·영상개발연구소(Fraunhofer IOSB)가 수행한 수중구조물 검사프로젝트 “CView"에서 개발한 AUV를 이용한 수중구조물 검사기술에 관해 기술한 것이다.

 

검사에 사용한 잠수정은 Atlas Elecktonik사에서 제작한 AUV "Sea Cat"이다. 이것은 단 한 개의 주 엔진과 지느러미를 갖고 있어 이동하거나 임무시간을 연장하는 데 추진에너지가 적게 든다. 항법과 위치를 찾는 데는 도플러 속도 로그(Doppler Velocity Log, DVL)와 압력센서에 의해 지원된 레이저 자이로스코프를 사용했다. 추가로 스캐닝 소나는 충돌회피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 소나는 잠수정 안내시스템(VGS)에 의한 잠수정 제어와 검사대상물 검출에 사용된다.

 

Douglas-Westwood사 보고서(2010)에 의하면 AUV20102019년 세계 AUV 판매대수는 1,144대로 이 중 대형 394, 중형 285, 소형 463대이며, 세계시장 규모는 23억 달러로 이 중에 군사용이 11억 달러(49%)로 전망된다.

 

국내의 무인잠수정 개발연구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6,000m급 심해용 무인잠수정(ROV) '해미래를 미국, 일본, 프랑스 다음 4번째로 개발했으며 한국해양대, KAIST,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등에서 AUV 관련 개발연구를 하고 있으나 아직 선진국에 비해 기초연구 수준으로 평가된다. 무인잠수정은 로봇기술, IT, 항해기술, 소나나 레이저에 의한 해저 구조물 탐사기술 등 융합기술의 산물로 차세대 자율무인잠수정 개발에 도전하여 경쟁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저자
Marco Jacob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67()
잡지명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80~86
분석자
이*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