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치료 표적 가능성이 있는 녹농균 막

전문가 제언

균막은 표면에 고착된 박테리아 군락이다. 대부분의 경우 박테리아 군락은 실험실에서 연구하는 부유미생물 및 자유-유영 세포들과 다른 독특한 구조, 표현형 및 생화학적 특성을 가지며, 더 많이 균막안에 살고 있다.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많은 표면에 균막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폐의 낭포성 섬유증 (cystic fibrosis, CF) 조직, 생물이 아닌 콘택트렌즈, 및 카테터 라인 등에 균막이 생긴다. 이 도처에 존재하는 유기체는 면역약자 환자 및 심한 화상환자에 원내 감염을 일으켜 심각한 건강문제가 되고 있다.

 

낭포성 섬유증에서, 녹농균의 만성 폐 감염지속성은 균막에서 성장하는 유점액소 (alginate-producing) 종들 때문이다. 균막은 자가-생산된 다당류, 단백질 및 DNA들로 구성된 고분자기질에 박혀있는 박테리아 군락이다. CF 폐에서는 다당류 alginate가 녹농균 균막의 주성분이다. 이 막의 성장은 돌연변이의 빈도증가, 폐 환경에서 박테리아의 늦은 성장 및 적응 및 항생제치료와 관계가 있다. 박테리아 균막은 항생제에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식세포작용에 저항할 뿐만 아니라 선천성 및 후천성 면역시스템의 타 성분에도 저항성을 보인다. 결과적으로 뚜렷한 항체반응이 발달하여 다형핵 백혈구가 지배하는 면역 복합체-매개된 만성염증을 가져온다.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2013)에 “식품에서 분리한 황색포도상구균의 항생제 내성 특징 및 균막 형성” 이라는 논문이 발표되었다. 논문에 의하면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다양한 식품에서 분리한 황색포도상구균 275균주에서 하나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인 균주는 259주(94.2%)이었다. Congo red agar에 의한 slime production assay로 균막형성에 대한 양성 결과, 균막 형성 양성은 275균주 중 67균 주로 24.4%, biofilm assay로 균막 양성인 균주는 30.5%이었다. 초밥에서 분리한 균주가 34.5%로 가장 많은 균막을 형성 하였다. 항생제 내성과 균막 형성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면 다제 내성균의 수와 균막 형성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저자
Garima Sharm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42()
잡지명
Biologic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7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