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분을 접종하여 활성화된 폐기물 슬러지로부터 바이오가스 생산: 총 고형물 양의 영향과 동태에 대한 연구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가스 플랜트 사업은 공해물질을 제거하면서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CO2의 추가 발생이 없는) 사업으로 원료 공급량이 매우 큰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바이오가스 생산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는 가정 폐기물(분뇨 및 음식물찌꺼기)의 정화 및 메탄 생산, 둘째는 축산 분뇨로부터의 메탄 생산, 셋째는 하수슬러지로부터의 메탄 생성이다. 현재 이들에 대한 다양한 상용화 개발이 이루어져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 상기 3가지 공급기술 중에서, 첫째 가정 폐기물과 둘째 축산분뇨로부터의 메탄생성은 기술 개발은 오래전부터 이루어졌으나, 현실적으로 적용할 때 규모가 작고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여 충분한 경제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에 하수슬러지는 하수처리장에서 상당한 규모로 사업을 추진할 수가 있다. 그러나 양질의 메탄가스를 중단 없이 공급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72.59%라는 매우 높은 메탄함량의 바이오가스를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각국에서 바이오가스 생산을 독려하고 있는데, 특히 독일의 경우는 강력한 재생에너지법을 실시하며, 발생열에 대한 보조금지급, 소형발전기에 대한 면세, 신기술 보조, 바이오에너지 시설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 전면적인 지원을 하고 있어, 총 시설 수는 현재 약 8,000개에 이르고 있다. 독일의 신재생 에너지 중 바이오가스는 56%를 차지하고 있으며 새로운 수출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 현재 우리의 이웃인 중국은 환경에 대한 국가적인 자각 및 우선 정책에 의거 환경산업이 새로운 거대 산업으로 등장하고 있다. 중국의 하수처리장 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음식물 폐유(디거유)는 큰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바이오가스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강력히 지원하여 국내는 물론 중국 시장으로 시급히 진출할 필요성이 있다 하겠다.
- 저자
- S. Maamri, M. Amran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50()
- 잡지명
- Energy Procedi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52~359
- 분석자
- 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