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산 및 붕산 스핀도핑으로 형성된 c-Si 태양전지
- 전문가 제언
-
○ 태양전지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목적으로 제작된 광전지로, 태양으로부터 생성된 빛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반도체 소자이다
○ 초기의 태양전지는 Si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저가의 장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효율을 높이고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해 꾸준히 개선되고 있고 근래에는 박막형, 염료감응형, 플렉시블(flexible)형, 고체산화물, 유기물 등 다양한 재료와 형태의 태양전지 연구가 활발하다.
○ 국내에서도 고효율 유기태양전지 재료, 염료감응 플렉시블 태양전지 등의 개발이 최근에 이루어졌다. 태양전지에 있어서 국내의 연구 수준은 기술 선진국에 비해 크게 밀리지는 않는다.
○ 국내의 태양전지 시장 축소는 우려할만하다. 정부에서는 원자력과 화력발전 쪽으로 에너지사업을 좀 더 투자를 하게 되면서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축소를 가져오게 되었다.
○ 세계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유럽의 재정위기, 중국의 싼 인력을 이용한 물량 덤핑, 중국정부의 무차별 지원, Si 값 하락 등이 국내를 비롯한 세계 태양전지 시장의 위축을 가져왔다. Si를 이용하는 태양전지에서는 가격대비 효율이 낮아 기업들이 투자를 꺼리고 있다.
○ 국내에서는 2004년부터 ‘태양광 주택 10만 호 보급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개인이 일반주택에 일정용량의 태양광발전 설비를 설치하면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지원 받을 수 있는 제도인데 현재는 지원이 불확실하다.
○ 지구온난화 방지와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축하려면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확장해야 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정부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 저자
- Akash Yadav,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80()
- 잡지명
- Renewable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80~84
- 분석자
- 유*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