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성 폐기물 퇴비화과정에서 악취물질 배출에 대한 첨가물의 영향

전문가 제언

유기성 폐기물 퇴비화는 유기성폐기물을 오물감과 악취 없이 살균 처리하여 토양과 작물에 무해한 유기성폐기물자원순환이용이다. 퇴비화는 호기성미생물의 이분해성유기물 적정분해 조건은 퇴비재료의 수분조정과 산소공급에 의한 퇴비화 발효온도 적정유지 및 퇴비화 기간 등이다.

 

유기성폐기물 퇴비화 부숙 목적은 이분해성 유기물분해와 생육저해물질 분해에 있으며 부숙도 판정은 퇴비화 온도(유기물분해 검사) 및 발아율검사(생육저해물질 검사)등에 따라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나라의 유기성폐기물 퇴비화에 소요되는 첨가물은 대부분 수입하고 있어, 구입비용이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숙성퇴비를 첨가물로 재활용하여 악취물질 배출농도, 퇴비화 악취물질의 바이오탈취, 종자발아율, 퇴비재료 수분 등에 관계되는 첨가물의 혼합비, 퇴비재료 EC농도 등을 구명하여 퇴비화 안정성과 품질개선에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퇴비재료 수분 50%내외, 종자발아율 70%이상, EC농도 5ds/m이하, 퇴비화온도 55℃이상 7일간 유지, 퇴비화 악취물질 농도 45ppm (암모니아 허용기준치)이하 등의 유지는 완숙 퇴비 제조에 대단히 중요하다.

 

퇴비화 첨가물의 혼합 중량 비율은 20%에서 30% 정도가 퇴비화 재료의 수분조정, 산소공급용의 공극비율 및 퇴비재료 용적밀도 등의 퇴비화 최적조건을 유지하면 호기성미생물 대사활동에 가장 효과적이다.

 

폐기물 퇴비화 공정은 전처리공정(첨가물 혼합비율 조정), 분해공정(주발효 온도 55℃이상 7일간 지속), 안정화 공정(부숙화 촉진), 및 탈취공정(생물학적 탈취처리) 등이며, 퇴비화 소요기간은 퇴비 주 발효와 후숙 안정화를 위한 기간으로서, 첨가물이 작물잔사인 경우는 보통 3개월이며, 첨가물이 목질계인 경우는 6개월 정도가 소요된다.


저자
Li-ming Shao, Chun-Yan Zhang, Duo Wu, Fan Lu, Tian-Shui Li, Pin-Jing H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34()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381~1390
분석자
홍*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