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에서 지능형 상호작용 서비스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특허기술의 핵심사항은 IoT망 내 각 개체들 간에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해 서비스장치에 인식기능 및 인공지능 등 첨단 ICT 기술력을 집약시킨 Embedded software를 기반으로 운용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기능은 여러 관련 모듈을 수시로 업데이트하여 요청작업에 대한 인식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사물인터넷에서 지능형 상호작용 서비스 기술은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에서 2011년 9월 ETSI-TS-102 921-VO.8.2와 2011년 10월 ETSI-TS-102 690-1.1.1버전으로 국제표준화 되어 있다. 이 표준에서는 하드웨어로부터 스위칭(switching), 라우팅(routing), 방화벽(firewall), BRAS(Broadband Remote Access Server) 등과 같은 네트워킹 기능을 가상화된 x86 기반의 서버 플랫폼에서 운용할 수 있는 네트워킹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도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용할 수 있는 가상화 기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 가트너는 PC, 태블릿, 스마트폰을 제외한 사물인터넷 기기가 2009년 9억 대에서 2020년에는 약 30배 증가한 260억 대에 이를 것이라고 발표했다. 2020년 IOT 제품과 서비스 공급업체의 수익도 3,000억 달러를 상회할 것이며, 수익의 대부분이 서비스 부문에서 창출될 것이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전 세계 경제적 부가가치는 1조9,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IoT 기능을 탑재한 제품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IoT 기능을 활용하여 연결성(네트워킹)을 활성화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첨단 의료기기, 공장자동화 센서, 산업용 로봇 애플리케이션, 자동차 센서와 도로 및 철도 교통, 전력 송전 등의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인프라 모니터링 시스템까지 광범위한 시장을 대상으로 한 제품, 서비스,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 개발이 절실하다.
- 저자
- CONVIDA WIRELESS LL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182665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6
- 분석자
- 박*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