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네슘 합금(Mg?3Al?1Zn?2Ca)의 최적 열간 단조
- 전문가 제언
-
○ 마그네슘 합금 Mg-3Al-1Zn-2Ca(AZX312)이 공정도(process map)를 입증하고 미세조직 개발을 연구할 목적으로 리브-웨브(컵 모양) 모양을 생산하기위하여 350~500℃ 온도범위와 0.01~10mms-1속도범위에서 단조 되었다. 단조공정이 단조 한계에서 국부 및 평균 변형률 범위를 추정하기 위하여 유한요소법(finite-element method)을 통해 모사되었다. 공정도(processing map)는 ① 350∼450℃/0.0003~0.05s-1과 ② 450∼500℃/0.03~0.7s-1 범위의 두 영역을 보였고 이들은 동적 재결정(DRX: dynamic recrystallization)과 입간 균열을 각각 나타냈다.
○ 공정도에 따르면 최적 작업조건은 425~450℃/0.0001∼0.01s-1이다. 넓은 유동 불안정 조직이 공정도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질러 높은 변형률을 발생시켰고 이것이 이 합금 성형에서 피해야 할 유동 국부화의 원인이다. 실험의 하중-행정 곡선이 모사된 것과 잘 맞아 들어갔고 단조 부품에서 관측된 미세조직 형태는 공정도에 의해 예측된 것과 잘 어울렸다.
○ 다중온도 아래서 다축 단조(MAF: Multi Axle Forging)를 통해 AZ61 마그네슘 합금이 균열 위험 없이 4.158에 상당한 변형율로 성공적으로 단조 되었다. 동적 재결정(DRX: Dynamic Recrystallization)이 MAF 동안 미세조직의 주요 이유이다. 미세 경도, 항복강도 및 전성이 변형의 증가로 증가하였다.
○ 2014년 유럽 차량의 CO2 배출 관리 규정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20km/l의 높은 연료당 주행거리를 얻는 것이 필요하여 자동차의 중량을 약 10%(100~150kg)감소 해야 된다.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정하국 등은 자동차 부품인 너클암 부품을 대상으로 단조공정에 의하여 AZ31 합금의 경우 인장강도 약 280MPa, 연신율 18% 정도를 달성하였다. 자동차 경량화를 위해 MAF를 통해 고강도 미세조직 마그네슘 단조품을 계속 개발해야 한다.
- 저자
- K. Suresh, K.P. Rao, Y.V.R.K. Prasad, N. Hort, K.U. Kain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57()
- 잡지명
- Materials & Desig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697~704
- 분석자
- 신*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