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무의 열화 메커니즘과 수명

전문가 제언

고분자재료의 수명이 일반적으로 금속이나 무기재료에 비해서 현저하게 짧은 원인은 화학적 안정성의 문제와 함께 가공의 특수성에 있다. 특히, 고무 재료의 가공공정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약품이 사용되므로 이들의 피로나 열화에 주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일본고무협회는 20152월 고무 제품의 열화와 장수명화 세미나를 개최했다. 동 세미나에서 ToyotaEPDM의 유황가교반응과 열산화 거동에 대한 배합 성분의 영향에 대해 그 구조와 역학물성과의 상관성을 고찰했다. CERI(Chemicals Evaluation and Research Institute, Japan)는 왁스 배합 가황고무에서 발생하는 특유한 저온 오존 열화 메커니즘 및 성형품 중의 노화방지제의 거동을 가공 및 사용 시의 특성을 고려하여 해설했다. 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은 피로 열화에 따른 가황물의 물성 변화 및 내피로 열화성에 대한 영향과 함께 최근의 개선 예를 소개했다. Toyo Chemical Industrial은 차량의 방진용 고무 제품의 열화와 내구성 평가 예를 소개했다.

 

우리나라는 고무호스 소재의 전기화학적 복합스트레스시험 및 가속수명평가법(2013/한양대), 승용차용 Y등급(300km/h) 연료절감형 런플랫 타이어 개발(2013/한국타이어), 14f 이상의 접착력을 발현하는 폴리에스테르 코오드사를 이용한 파워트레인용 벨트 보강재 개발(2014/유앤아이) 및 구조용 복합재료 및 반도체 패키징 재료의 잠닉손상 정밀진단을 위한 Photo-Mixing 기반의 고속 고분해능 영상/분광 기술 개발(2014/한양대) 등을 통해 소재기술 및 평가진단기술을 개발 중이다.

 

고무는 폴리머의 종류가 같아도 첨가제나 충전제 등의 종류 및 함유율에 따라 초기물성이나 열화속도, 수명은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고무의 수명평가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한 각종 평가기술의 개발이 중요하다. 한편 고무의 내구신뢰성 개발은 수요자가 조건 제시를 하고 부품 공급자가 설계 시험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수명 추정에 필요한 고무의 특성에 대해서는 수요자는 상세자료가 부족하며, 공급자에 있어서는 비밀자료가 대부분이다. 부품의 사용 환경도 공급자에게 전달되기 어렵다. 따라서 이들 정보를 융합할 수 있는 분위기의 조성이 필요하다.

 

저자
Yoshito OHTAK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79(5)
잡지명
化學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62~366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