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산화우라늄의 조사손상에 미치는 비화학양론의 영향

전문가 제언

전 세계적으로 현재 관심을 두고 있는 차세대 원자로를 개발하기 위하여 초기단계에 후보재료의 선정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여건으로는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 중에 한 가지가 실험을 보완하는 수단으로 전산모사기술이 필요하다.

 

분자동력학 시뮬레이션은 우선 실험적으로는 얻기 힘든 분자 수준에서의 미시적인 정보들을 제공하여 준다. 따라서 실험으로 설명하기 힘든 현상들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특히 장기가동 원전의 수명예측 기술과 미래형 원전후보재료 조사 특성(creep, growth, swelling, ) 평가에 이용됨으로 이에 대한 최근동향을 소개하였다.

 

국외는 미국의 국립연구소인 LLNL, ORNL, PNL 등이 주축으로 핵융합로 재료에 대한 연구와 실험을 기반으로 한 조사손상 평가 연구를 수행하여 왔다. 또한 미국 UC Berkeley, 영국, 프랑스, 일본의 대학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조사손상 모사 기초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는 2000년대에 들어와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외국이 개발한 조사손상 평가 코드를 이용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고, 핵융합연구소의 후보소재의 조사손상평가 연구 등이 진행되었으나 현재 기반구축단계에 있으며 실험적 연구는 아주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 진행 중인 차세대원자로인 SFRVHTR, 핵융합로 개발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전산모사기술의 개발방향과 전략 수립이 중요한 시점이며, ..연의 협동연구를 할 수 있는 환경이 성숙되어 있어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예로서, 연구소 및 대학의 우수한 연구인력, KISTI의 컴퓨터자원과 국가 중점 시설인 한국원자력연구원의 [하나로]연구로와 포항 가속기 등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안을 추천한다.

 

저자
Raoul Ngayam-Happy, Matthias Krac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72()
잡지명
Progress in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8~43
분석자
강*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