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에 함유된 금과 갈륨의 최저가행품위
- 전문가 제언
-
○ 공업분석 또는 일반성분분석(proximate analysis)은 연료의 성분을 분석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석탄의 성분을 고정탄소, 휘발분, 수분, 회분의 4가지로 나눈 것을 중량백분율(%)로 나타낸다. 고정탄소와 휘발분만이 가연성분이다. 공업분석은 정밀도는 약하나 간단히 행할 수 있고 석탄 연소 시 발생되는 현상 등이 실용상 비교적 적절한 자료를 부여한다는 이점이 있다. 공업분석은 항습시료에 의해야만 한다.
○ 석탄재는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미분탄(pulverized coal)을 연소 후 부산물로 발생되는 회(재)를 말하며 석탄회의 발생위치에 따라 플라이애시(fly ash), 바텀애시(bottom ash), 신더애시(cinder ash)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중국 탄광에서 채집한 석탄을 중성자방사화분석기(INAA; Instrumental Neutron-Activation Analysis)로 분석한 결과 금, 갈륨, 비소, 안티몬 등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석탄회에 함유된 금과 갈륨도 INAA로 밝혔고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ICP-MS;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로 부분적인 갈륨도 알아냈다.
○ 갈륨(Ga)은 연한 은백색의 저융점의 금속으로 주기율표에서 제 IIIB족에 속하며 섬아연광이나 보크사이트 등에 미량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저융점합금재료 이외에 고온용의 온도계, 반도체의 도우프용 재료 등의 용도가 있으며 비소화갈륨(GaAs)은 일렉트로닉스분야에서 응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조명이 백열등과 형광등에서 LED로 이동함에 따라 갈륨수요는 2014-2020년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우리나라 석탄 수입량은 2008년 1억 톤을 상회한 이래 2011년부터 1억 2000만 톤을 상회하였고 2013년의 경우 126,994천 톤을 기록하였다. 국내생산의 경우는 1987년 2,369만2000톤을 생산 피크로 하여 매년 감소하여 2013년에는 205만4000톤을 기록하였다. 국내 석탄생산 및 수입을 고려할 때 이에 함유된 금과 갈륨 등 유용한 미량원소를 회수하는 기술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자원이 사장되는 일이 없기 위해서는 업계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있어야 된다고 본다.
- 저자
- Wenfeng Wang,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47()
- 잡지명
- Fue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2~66
- 분석자
- 김*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