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중플라스마의 수산업분야 활용
- 전문가 제언
-
○ 플라즈마가 동식물에 미치는 영향은 과학기술이 발달하기 이전부터 경험적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체계적인 연구는 20세기 후반에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현재 플라즈마를 응용한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수산업 분야에서도 액중 플라스마를 이용한 기술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 수중에서 발생시키는 액중플라즈마는 절록파괴에서 생성되는 충격파의 이용, OH 라디칼과 오존의 이용 그리고 상대론적 수중전자빔의 이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산업에서도 실용화 개발이 추진되고 있는데, 액중 플라즈마의 생성에는 고밀도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직류 및 교류 전력이 아니고 펄스출력(pulsed power)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 액중플라즈마의 주요 활용분야로는 빙해 운항을 위한 쇄빙 시스템, 액중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한 녹조(green algae)처리, 기포내 방전플라즈마를 이용한 공업폐기물인 디옥산(dioxane)분해, 공기중 플라즈마를 이용한 산업폐수의 염료 탈색과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는 수처리, 그리고 상대론적 수중전자빔 조사에 의한 동물플랑크톤의 불활성화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 플라즈마는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수산업에서도 응용 가능성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여 선진국을 중심으로 관련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경남대에서 공업폐수 처리에 플라스마를 이용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하였는데, 수산업에서의 플라스마 활용은 앞으로 발전이 기대되는 분야이며 특히 수중플라즈마를 이용한 쇄빙은 조선분야에서 관심을 갖질 수 있는 분야이므로 선진국의 연구개발 상황을 지속적으로 추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저자
- AKIYAMA Masahiro, KONO Susumu, IMADA Go, IHARA Satoshi, SUGAI Taichi, WANG Douyan and KATSUKI Sunag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90(10)
- 잡지명
- プラズマ核融合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95~600
- 분석자
- 이*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