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터키 해안지역의 풍력발전 잠재력과 이용현황

전문가 제언

Energy Policy(2010)에 발표된 연구 자료에 의하면 풍력발전(2.5MW 기준)kWe당 수명주기 CO2 배출량은 9g(육상풍력) 10g(해상풍력)으로서 전력에너지원 중에서 가장 낮다. 소수력발전(300kW의 수로식 기준)13g, 혐기성소화 바이오가스발전의 13g 및 태양광발전(다결정 실리콘 기준)32g에 비해서도 낮다. 가장 높은 경우인 탈황시설이 없는 석탄발전의 1,050g과 비교하면 100분의 1도 안 된다.

 

Grubb Meyer(1999, EU DG Energy)의 연구에 의하면 지상높이 10m, 풍속 5m/s 이상에서 세계 풍력발전 잠재력은 연간 498,000TWh이며 기술적인 개발 잠재력도 53,000TWh나 된다. 참고로 WEO2013에 의하면 세계 전력 수요는 2011년에 19,004TWh이었고 2035년에 32,150TWh가 예상되는데 이론적으로 풍력발전이 이를 모두 담당할 수 있다.

 

풍력발전의 지역별 기술적인 잠재력은 북미가 연간 14,000TWh로 가장 높고 아프리카와 동유럽도 각각 10,600TWh이다. 아시아는 내륙이 많아 4,900TWh 정도이다. 그러나 세계 풍력발전협회에 의하면 2014년 말의 세계 풍력발전용량은 369GW로 아시아의 142GW가 유럽의 134GW나 북미의 78GW보다 높다. 이는 중국(114GW)과 인도(22GW)가 풍력발전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풍력발전용량은 2014년 현재 609MW이며 일본(2,789MW)뿐만 아니라 타이완(633MW)보다도 낮다. 삼면이 바다이고 긴 해안선을 가지고 있지만 계절별로 풍향과 풍속이 일정하지 않고 굴곡진 산지가 많아 풍력발전 개발 잠재력이 높지 않고 한편으로 수년 전에 비해 풍력발전 등의 재생에너지 개발열기가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풍력발전 산업은 이미 상당한 수준이며 두산중공업, 효성,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STX 등이 5-7MW의 풍력발전기를 개발하였거나 개발 중에 있다. 이를 토대로 국내외 시장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터키는 EU의 일원이면서 우리나라와 경제협력이 활발하기 때문에 국내 산업이 진출하기 좋은 국가이며 이 자료는 그런 측면에서 터키의 시장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저자
Cumali Ilkilic, Huseyin Aydi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4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78~86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