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소빌딩의 효율적인 공조관리
- 전문가 제언
-
○ 이 문헌은 계측과 제어 기술로 유명한 일본의 Azbil Corporation(창업 ; 1906년 12월, 자본금 ; ¥105억, 종업원 수 ; 5,210명)이 Tokyo도내에 위치한 한 사무소빌딩을 대상으로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데이터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공조관리로 에너지절약을 추진한 사례를 소개한 내용이다.
○ 여기서 이용한 사무소빌딩은 1980년대에 준공하였으며, 총 바닥 면적이 약 90,000m2, 공조 설비는 변풍 단일닥트방식(VAV방식)이고, 열원설비는 터보냉동기, 냉 수축열조, DHC증기 및 증기흡수식 냉동기와 온수열교환기로 되어있다.
○ Azbil사는 동 사무소빌딩에 대한 BEMS에 의한 공조에너지 사용 상황을 감시하기 위하여 에너지사용량, CO2배출량, 수전 전력량, 수입 증기 량, CVCF공급전력량, 열원동력계 전력량, 터보냉동기계 전력량 및 일반 동력계 전력량 등을 매월 도표로 표시하고 이를 매월 갱신하여 분석 평가하였다.
○ 그리고 “월별 에너지사용량에 대한 도표의 타당성평가”와 “일일 공조소비에너지의 외기상관관계에 대한 도표의 평가“를 실시하고 문제점이 있을 가능성을 알게 되면 그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 열원과 공조기 및 열 반송펌프를 대상으로 주요항목의 제어상태를 체크하고 그것을 개선함으로서 미리 에너지절약을 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기존 건축물(약 680만 동)중 15년 이상 경과되어 에너지성능 개선이 필요한 건축물이 전체의 74.1%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그중에서 0.34%(연면적 9.34%)인 3천㎡ 이상 상업·업무용 건축물 2만 3천동에 BEMS를 도입할 경우 원전 1기의 57%를 대체하는 에너지 절감효과와 7,300여 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예상된다고 한다. 따라서 정부시책은 물론 ESCO 등 관련 전문 업체에 의한 BEMS활용의 보급 확대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며 상기 Azbil사의 BEMS데이터 활용사례가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 저자
- k FUKUDOR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66(9)
- 잡지명
- 省エネルギ―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6~40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