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물모방재료: 저차원에서 고차원 구조까지

전문가 제언

자연의 생물체들이 나타내는 특수한 기능들이 그들의 계층적 구조에 의한다는 사실이 점차 밝혀지면서, 기능과 구조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러한 구조를 재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상당한 성과를 거둠에 따라 이 분야는 첨단재료연구에서 독자적인 한 분야로 나아가고 있다.

 

요즘 생체모방공학(biomimetics)이 과학과 공학의 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으며, 학술지 네이처의 최근호(326)생물모방재료가 특집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사실이 이러한 경향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와 병행하여 최근 생물모방재료기술의 진보가 가속도를 얻고는 있지만,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는 것 또한 주지의 사실이다(결론 부분 참조).

 

시류에 발맞추어 국내 연구진의 활동도 제한적이긴 하나 활발한 편이다. 서울대와 한국과학원의 재료공학분야 연구실이나 한국기계연구원의 나노자연모사연구실에서 관련연구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교육부와 미래창조과학부의 연구프로그램에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교육부는 곤충의 눈과 같이 서리가 끼지 않는 표면 개발을 위한 자기 보호형 생체모방 표면기술의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미래창조과학부의 신진연구자 프로그램에는 인공광합성기술이 포함되어 있다. 이 연구는 생체기반 재료공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있는 서울대의 남기태 재료공학부 교수가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그 주제의 범위가 상당히 제한적이고 선별적인 선에서 머물고 있다. 이 점은 인정이 되나 연구지원의 양상이 국가중점과제의 형식이 아니고 개인연구실의 프로그램 수준인 것은 아쉬운 일이다. 보다 체계적이고 전폭적인 지원을 위한 기획프로그램이 필요할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

저자
Ning Zhao,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26()
잡지명
Advanced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994~7017
분석자
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