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과 류마티스질환과의 상호연관성

전문가 제언

류마티즘이란 관절과 관절 주변의 연골, , 근육, 인대 등에 발생하는 병적인 현상이나 질환을 의미한다. 결합조직질환이나 교원성질환으로 부르기도 한다. 기록에 의하면 류마티즘의 존재에 대해서는 지금부터 약 2400년 전 히포크라테스 시대 때부터 알고 있었고, 기원 후 1세기 경 사람들은 류마(rheuma)라는 물질이 사람 몸속을 돌아다니다가 멈추는 곳에서 이런 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류마티스관절염이 일반인에게 많이 알려져 있어 류마티즘이 류마티스관절염을 뜻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류마티스관절염은 여러 가지 류마티스질환 중의 하나이다. 강직성 척추염이나 통풍, 퇴행성 관절염의 소견들이 고대 유골들에서 발견되고, 중세의 그림들에서 류마티스관절염이나 측두동맥염의 소견들이 관찰되는 것은 이러한 여러 류마티스질환들이 최근에 발생한 새로운 병들이라기보다는 오랜 과거에서부터 있어 왔던 질환임을 말해 준다.

 

갑상선염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갑상선 항체에 의한 자가 면역 반응,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감염, 그리고 약물 등이 있다. 흔히 하시모도병(Hasimoto' disease)으로 알려진 자가면역성 갑상선염은 대표적인 기관-특이 자가면역질환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자가 면역 반응이란 정상적으로는 항체가 자기 자신을 공격하지 않지만 잘못된 정보를 가진 항체에 의해 면역계 이상이 생겨 자기 자신을 공격하는 현상을 말한다. 자신을 공격하는 항체를 갖게 되는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으나, 가족력이 있을 경우 그 위험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쇼그렌증후군, 전신홍반성루푸스 및 류마티스관절염과 같은 전신성 자가면역질환에서는 자가면역갑상선질환의 발생빈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가면역갑상선질환은 일부 결합조직 질환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서로의 인과관계는 분명하지 않다. 갑상선 기능이상은 근육통, 관절통 및 지속적인 통증과 같은 일반적인 류마티즘 증세(rheumatic manifestations)를 수반한다. 최근 국내에서도 자가면역 갑상선질환의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저자
Khalil Bourj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14()
잡지명
Autoimmuni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7~63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