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2-메틸이소티아졸린-3-온으로 구성된 살균제 조성물

전문가 제언

상조적인 살균제 조성물은 두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구성성분은 R1O(CH2CH(CH3)O)5(CH2CH2O)9H 구조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이었고, 거기에서 R1은 C8 알킬기이었다. 두 번째 구성성분은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이었다.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에 대한 중량 비는 1:0.005∼1:1.3714이었다. 그렇지 않으면 첫 번째 구성성분은 R2O(CH2 CH(CH3)O)3(CH2CH2O)7H 구조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이었고, 거기에서 R2는 C8-C14 알킬기 혼합물이었으며, 선상구조이었다. 두 번째 구성성분은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이었다. 그 경우에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에 대한 중량 비는 1:0.006∼1:0.9143이었다.

 

본 특허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이 첨가되면 수성 매체에서 곰팡이(흑국균)와 효모균(칸디다 알비칸스)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과 보고서는 농업 관련 농약 살균제가 대부분이었고, 국내 특허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정제방법”이 있었다. 스페인 Santiago de Compostela 대학교의 Carmen Alvarez-Lorenzo는 접촉 시 항곰팡이 물질을 분비하는 의료기기용 코팅재를 개발하였다. 또한 미국의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와 University of Massa- chusetts Medical School에서 칸디다 알비칸스의 부착력을 현저히 저하시켜서 진균에 의한 감염과 의료 장비 등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막는 효과가 있는 화합물이 발견되었다.

 

칸디다균은 혈류 감염 원인균으로 사망 위험이 높다. 특히 칸디다 감염 환자의 사망률은 다른 감염 환자에 비하여 더 높아서 장기 입원에 따른 경제적 부담도 크다. 더욱이 기존 치료제에 내성을 보이고, 그 균주가 증가되므로 학계에서 효과적인 항진균제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 가습기 세정제로 인한 폐 손상 증후군으로 영유아, 아동, 임신부, 노인 등이 사망한 사건이 발생되어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다. 따라서 자생식물을 사용한 친환경 살균제의 개발도 필요하다.

저자
Dow Global Technologies LL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WO20150051117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4
분석자
현*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