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광선 조사로 파이로클로르 산화물에 의한 광촉매 물산화
- 전문가 제언
-
○ 태양광 유도의 광전기화학적(PEC) 물 분해는 효과적인 태양 에너지의 포집과 이용방법으로서 높은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 반응을 경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기술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태양빛을 광범위하게 흡수하고, 높은 효율에서 에너지를 들뜬 하전으로 전환하며, 특정적인 환원과 산화반응을 촉매 작용하는 물질들의 개발이 필요하다. 더욱이 이 물질들은 저렴하고 광 부식에 안정적이어야 한다.
○ 이 관점에서 만족할 이상적인 물질의 발견은 연구자들에게 도전으로 남아있다. 이 도전은 광전압 생성, 하전이동과 촉매활성의 관점에서 요구하는 성질의 제공을 목적으로 설계한 다양한 물질성분의 조합에 의해서 가능하다. 자외선(UV) 빛 조사 하에서 물분해 광촉매를 위한 TiO2가 하나의 예이다. UV 빛 조사 하에 물분해를 위한 광촉매 작용을 가진 SrTiO3를 포함하여 티타늄산화물이 관심대상이 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와 기초과학지원연구원팀은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의 하나인 멀티스케일 에너지시스템 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물 전기분해용 촉매인 귀금속 프리 '망간포스페이트'를 개발했다고 최근 발표하였다. 또한 명지대 나노전기화학연구실에서 태양광수소발생을 위해 수소 및 산소발생 두 가지 물분해 반응 중에서 수소발생 반응에 대한 실리콘 나노구조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빛 유도에 의해 광자를 H2로의 환원과 CO2를 CH3OH와 같은 탄소 기반의 연료로의 환원을 위한 반도체 물질 개발에서 그간의 큰 발전을 이루었으나 아직 성능이 확보된 안정적인 가시광선 활성 광촉매는 물산화의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 Y2Ti2-xRhxO7(0.04≤x≤0.06)는 조촉매의 필요성이 없이 물로부터 산소의 발생을 위한 효과적인 가시광선 광촉매임을 증명하여 이의 성능 개선과 함께 앞으로의 연구가 기대되고 있다.
- 저자
- Borbala Kiss,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53()
- 잡지명
-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4480~14484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